행정안전부가 국민 참여를 통해 생활안전 분야의 창의적인 해법을 발굴하는 ‘2025 생활안전 아이디어 공모전’을 4월 16일부터 5월 16일까지 개최한다.
이 공모전은 국민 일상 속 위험요소를 해소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발굴해 실제 연구개발(R&D)로 연계하는 사업으로, 2018년부터 매년 진행되고 있다. 지난해까지 총 1천3백여 건의 아이디어가 접수됐으며, 이 중 우수 아이디어 30건은 기술 개발 및 상품화 과제로 채택돼 추진되고 있다.
올해 공모 주제는 산불 등 화재 예방 대응, 어린이 교통안전, 결빙 교통사고 예방, 안전취약계층의 폭염 대응, 다중밀집 인파사고 방지 등 총 다섯 가지다.
※공모전 아이디어 제안 분야
① (산불 등 화재 예방·대응) 산불진압, 화재대피시설 및 취약시설 관련 등 화재 예방 및 인명구조 ② (어린이 교통안전) 어린이보호구역·통학버스 관련 등 어린이 교통사고 예방 및 안전운행 ③ (결빙 교통사고 예방) 결빙 예방시설 개발, 피해확대요인 제거 등 결빙 교통사고 예방 ④ (안전취약계층 폭염 대비) 노약자·외부 근로자 등 폭염취약계층을 보호하기 위한 아이디어 ⑤ (다중밀집 인파사고 방지) 인파 수요예측 기술, 사고위험지역과 유형 발굴 등 인파사고 예방 |
공모에는 국민 누구나 개인 또는 단체로 참여할 수 있으며, 행정안전부 누리집 또는 국민생각함 사이트에서 서식을 내려받아 작성한 후 국민생각함이나 이메일로 제출하면 된다.
접수된 아이디어는 전문가 심사와 대국민 투표를 거쳐 총 10건의 우수 아이디어가 선정된다. 수상자에게는 행정안전부 장관상(1~5위)과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장상(6~10위)이 수여되며, 각각 40만 원과 30만 원의 부상이 주어진다. 특히 우수 아이디어는 전문가 협의를 거쳐 내년도 생활안전 분야 연구개발 과제로 실제 기획되고 추진될 예정이다.
홍종완 행정안전부 사회재난실장은 “우리 일상 속에서 발견되는 위험 요소에 대한 국민의 관심과 참여가 안전한 사회를 만드는 출발점”이라며 “이번 공모전을 통해 국민의 창의적인 제안이 재난·사고를 예방하는 실질적인 기술과 정책으로 이어지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출처=행정안전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