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CNS가 미국 공공시장에 본격 진출하며 글로벌 스마트시티 사업 확장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최근 뉴욕시와 조지아주 호건스빌시와 각각 전기차 충전 인프라 구축과 스마트 가로등 설치 사업을 수주한 것이다. 이는 미국 공공기관과 체결한 첫 계약으로, LG CNS의 디지털 전환(DX) 역량이 글로벌 시장에서도 경쟁력을 인정받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먼저 LG CNS는 뉴욕시 경제개발공사와 전기차 충전소 및 관제 시스템 구축 파일럿 프로젝트 계약을 체결했다. 사업 대상지는 브루클린 아미 터미널로, 뉴욕시가 스타트업의 실증을 지원하는 핵심 산업단지다. LG CNS는 이곳에 전기차 충전소를 설치하고, 실시간 에너지 사용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는 충·방전 관제 시스템, 사용자 전용 앱 등을 구축해 운영한다.
LG CNS의 자체 스마트시티 플랫폼 ‘시티허브 빌딩’을 통해 충전기 모니터링, 디지털 사이니지 운영, 센서 제어 등 다양한 기능이 통합 제공되며, 향후에는 레벨3 초급속 충전기 및 에너지저장장치(ESS) 공급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본 사업은 뉴욕시의 '녹색경제 시행계획'과 연계된 시범 사업으로, LG CNS는 전기차 충전 기반의 친환경 인프라 구축을 통해 지속 가능한 도시 구현에 기여하게 된다.
또한 LG CNS는 조지아주 호건스빌시와도 스마트 가로등 및 관제 시스템 구축 계약을 체결했다. 스마트 가로등은 조명 제어, AI CCTV, 환경 센서, 공공 와이파이 등의 기능을 탑재한 첨단 도시기반시설이다. LG CNS는 여기에 전기차 충전기, 디지털 사이니지, 비상 호출 버튼까지 결합해 시민 안전과 도시 편의성을 크게 높인다는 전략이다.
해당 사업은 중심가와 공원 등 도심 주요 지역에 설치되며, 구축된 스마트 가로등은 LG CNS의 시티허브 빌딩 플랫폼을 기반으로 실시간 제어 및 통합 관리된다. 특히 비상 호출 버튼은 경찰과 직접 연결돼 도시의 치안 대응력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LG CNS는 이번 프로젝트를 발판 삼아 조지아주 라그랑주, 웨스트포인트 등 인근 도시로 사업을 확대하고, 미국 내 스마트시티 솔루션 공급을 본격화할 계획이다.
현신균 LG CNS 대표이사는 “이번 미국 공공시장 진출은 LG CNS의 스마트시티 기술력과 DX 역량이 글로벌에서도 통했음을 보여주는 결과”라며 “앞으로 친환경 인프라와 스마트 도시를 위한 기술 개발에 더욱 매진해 지속 가능한 미래 구현에 앞장설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