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방사청, 2025년 민군기술협력사업 시행계획 확정…132개 과제에 1,134억 투자

  • 등록 2025.04.30 09:59:33
  • 조회수 1
크게보기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안덕근)와 방위사업청(청장 석종건)은 4월 30일 ‘2025년도 민군기술협력사업 시행계획’을 확정하고, 차세대 방산기술 자립화 및 민군 기술융합을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올해 민군기술협력사업은 총 1,134억 원이 투입되며, 이는 전년 대비 32% 증가한 규모다. 사업을 통해 수륙양용 기동정찰로봇, 초소형 자폭드론시스템 등 132개 개발과제가 지원되며, 전체 예산의 약 63%인 720억 원이 AI, 반도체, 로봇, 드론 등 차세대 방산 소재·부품·장비 분야에 집중 투자된다.

 

민간의 첨단기술이 국방분야에 신속히 도입될 수 있도록 민군 소통 플랫폼인 ‘첨단민군 협의체’도 본격 가동된다. 국방부와의 협업을 통해 군의 소요 결정 전이라도 민간 신기술을 시범 운용할 수 있도록 제도 기반도 강화된다.

 

아울러 함정 정비 유지보수(MRO) 분야 민군 협력을 확대하기 위한 ‘함정 MRO 민군 협의체’도 신설되며, 이를 통해 수출 기반 기술 개발, 전문인력 양성, 시험·인증 체계 구축 등이 병행 추진될 예정이다.

 

방위산업 기반 강화를 위한 전문인력 양성에도 600억 원이 투자된다. 기계·소재, 전기·전자, 우주항공 등 기반산업 분야에 연간 2,000명 이상의 핵심 인재를 양성할 계획이다. 또한 해외 연구기관과의 협력을 확대해 민군 겸용성이 높은 기술을 공동 개발하고, 해외 방산 수요에 맞춘 수출형 무기체계 부품 R&D도 본격화한다.

 

산업부와 방사청은 민군기술협력사업 촉진법 및 관련 제도 개정을 통해 법적 기반을 강화하고, 민군 기술 융합 생태계 조성을 제도적으로 지원할 방침이다.

 

민군기술협력사업은 1999년 시작된 범부처 협력사업으로, 민군 겸용기술 개발(Spin-up), 민간기술의 국방 적용(Spin-on), 국방기술의 민간 활용(Spin-off), 기술정보 교류 및 규격 표준화를 포함한다. 대표 성과로는 60노트 이상 속도의 차세대 초고속정, 침수 대응 기술이 적용된 구축함용 해수펌프 등이 있으며, 이들 기술은 방산 수출 확대에도 기여하고 있다.

 

 

박성택 산업부 차관은 “미래 방산시장을 선도하기 위해 민간의 첨단기술과 방산기술의 융복합이 필수”라며 “범정부 차원에서 민군 협력을 통해 수출 전략산업화를 적극 뒷받침하겠다”고 강조했다.

 

강환석 방사청 차장은 “방산 4대 강국 진입을 위해 민군 기술이 선순환 구조로 발전해야 한다”며 “관련 정책을 적극적으로 관리하고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출처=산업통상자원부]

양세헌 기자 headyang1@gmail.com
Copyright @헤드라인경제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등록번호 : 경기,아53028 | 등록일 : 2021-10-07 | 제호명: 헤드라인 경제신문 | 주소 : 경기도 의정부시 평화로 216번길 13 발행 편집인 : 양세헌 | 전화번호 : 010-3292-7037 Copyright @헤드라인경제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