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안전기술원은 국토교통부 주관 ‘K-드론배송 상용화 사업’을 통해 지난 4월부터 전국 23개 지자체에서 드론배송 서비스를 본격 개시했다고 2일 밝혔다.
이 사업은 2019년부터 추진된 드론 실증도시 구축사업의 연장선상에서 2024년부터 본격화되었으며, 기존 13개 지자체에 더해 올해 신규로 10개 지자체가 추가돼 전국적으로 확대 운영되고 있다.
연속 참여 지자체에는 양주시, 성남시, 인천시, 제주특별자치도 등 기존 13곳이 포함되며, 시흥시, 원주시, 대전광역시 등 10곳이 새롭게 참여했다. 각 지자체는 항공안전기술원이 운영하는 담당 PM 제도 및 정기 점검 체계를 기반으로 드론배송을 안전하고 체계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특히 각 지역 특성에 맞춰 위험 요소를 사전에 식별하고, 표준화된 ‘K-드론배송 운영안’을 통해 안정적인 서비스 인프라를 구축했다. 이는 드론 거점 설치, GPS 기반 배달 지점 설정, 비행로 설계, 실시간 드론 위치 추적 및 안전 관리 시스템을 포괄한다.

올해부터는 폭염 등 이상 기후에 대응하기 위해 드론 자동 점검 시스템과 배터리 안전함이 배송 거점에 도입되었으며, 비가시권 및 야간 비행을 위한 최대 6개월간의 특별비행승인 제도를 통해 물류 사각지대 해소에도 나섰다.
지자체별로는 드론배송을 주민 의견에 맞춰 배송 품목을 확대하고 무게 한도를 늘리는 등 수요자 중심 서비스로 발전시키고 있으며, 의료·보건물품 배송, 공공물자 지원, 드론 순찰 등 다양한 공공서비스 분야로도 활용이 확대되고 있다.
황호원 항공안전기술원장은 “K-드론배송은 단순 배송을 넘어 생활 속 공공서비스로 진화하고 있다”며 “앞으로 더 많은 지역에서 드론이 실질적인 생활 물류 대안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지속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