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청(청장 직무대행 유재성)은 8월 13일 경찰청 어울림마당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방위사업청, 치안정책연구소 등 관계 부처와 함께 ‘인공지능(AI) 반도체 기반 미래치안혁신기술 전략 토론회’를 열었다. 이번 행사에는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국방기술진흥연구소(KRIT),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등 주요 전문기관뿐만 아니라 학계와 산업계 전문가 60여 명이 참석해, 인공지능 반도체 기술의 최신 동향과 치안 현장 적용 가능성을 폭넓게 논의했다.
경찰청은 지난 5월부터 ‘치안 인공지능 반도체 실무단’을 운영하며 현장 수요에 기반한 기술 개발 방향을 모색해왔다. 90일간 총 10차례의 회의를 거쳐, AI 반도체의 고속 연산·저전력 처리·실시간 분석 기능을 치안 활동에 접목할 수 있는 7개의 핵심 과제를 도출했다. 이 과제들은 단순한 장비 개선을 넘어, 사건·사고 대응 속도와 현장 효율성을 비약적으로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담고 있다.
토론회 2부 패널 세션에서는 △위험 상황을 인지하고 현장 증거를 실시간으로 분석·저장하는 AI 바디캠과 스마트 글라스, △마약 성분을 신속하게 판별하는 AI 기반 휴대용 검출 장비 등 현장 적용도가 높은 기술들이 소개됐다. 특히 바디캠과 스마트 글라스의 경우, 범죄 대응과 증거 확보 과정을 혁신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현장 경찰관들의 관심이 집중됐다.

경찰청 최주원 미래치안정책국장은 “이번 토론회를 계기로 AI 반도체 기술의 실질적 치안 적용 전략을 수립하고, 실증 중심 과제 발굴을 본격화하겠다”며 “미래 치안 환경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안전 서비스를 구현하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과기정통부 박태완 정보통신산업정책관은 “AI 반도체는 단순한 기술이 아니라 국가 안보와 사회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전략 자산”이라며, “치안 분야에 특화된 맞춤형 AI 반도체 개발과 운용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경찰청은 앞으로도 치안 현장의 실질적인 요구를 반영한 장비 고도화와 기술 개발에 나서며, AI 반도체를 비롯한 첨단 기술을 활용해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스마트 치안’ 체계를 구축할 방침이다.
국민 안전을 위한 기술 혁신이 현장에서 얼마나 빠르게 안착할 수 있을지가 향후 관건으로 보인다.
[출처=경찰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