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 AX(사장 김완종)가 글로벌 풍력타워 제조기업 씨에스윈드(CS WIND)와 함께 전사적 AI 전환(AX, AI Transformation)을 본격화한다. 양사는 신재생에너지 제조 산업의 미래를 이끌 AI 중심 운영 모델 구축을 목표로 ‘WAIV(웨이브) 플랫폼’ 구축 사업에 착수했다고 6일 밝혔다.
씨에스윈드는 미국, 베트남, 덴마크, 포르투갈 등 7개국에 생산법인을 둔 글로벌 풍력발전 구조물 제조 선도 기업으로, ESG 경영 강화와 RE100, 글로벌 공급망 재편 등 산업 환경 변화에 맞춰 데이터 기반의 의사결정 체계 구축이 필수 과제로 떠오른 상황이다. 이에 씨에스윈드는 AI 중심의 운영 혁신과 조직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SK AX는 지난 8월 씨에스윈드 미국 공장에서 AI 에이전트 도입 타당성 검증을 진행했다. 기존 화이트보드 기반의 수작업 관리 체계를 클라우드 기반 디지털 현황판(Digital Kanban)으로 전환하고, AI가 작업지시서를 자동 생성하는 ‘AI 작업 지시서(Work Order)’ 서비스를 현장에 적용했다.
이를 통해 수천 건의 작업지시서가 실시간으로 관리되며, 병목 구간을 사전에 식별할 수 있게 됐다. AI는 매일 데이터 기반으로 작업 우선순위를 제안해 생산 흐름을 최적화했고, 현장은 AI와 사람이 협력하는 ‘에이전틱 AI(Agentic AI)’ 기반 운영환경으로 전환됐다.
이번 구축 사업은 이러한 검증 성과를 미국과 포르투갈 법인에 확장 적용해 AI 기반의 생산 공정 최적화를 달성하는 것이 목표다. 이후 전 세계 7개 법인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WAIV 플랫폼’은 ERP(전사적 자원관리), MES(생산관리) 등 주요 기간 시스템 데이터를 클라우드 기반으로 통합해, 국가별·사업장별 주요 지표를 실시간으로 조회·분석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SK AX는 이를 기반으로 AI가 주도하는 전사 AX 체계를 구현해 생산 현장뿐 아니라 사무 업무 전반에서도 AI 워커가 함께 일하는 구조를 구축한다.
미국 공장에서 이미 검증된 디지털 현황판과 AI 작업 지시 에이전트를 비롯해 △고객 도면을 자동 분석해 공정 계획을 수립하는 ‘설계 에이전트’ △자재·설비·인력 데이터를 기반으로 최적 일정을 도출하는 ‘스케줄링 에이전트’ △공정 리스크를 실시간 감지하고 대응을 지원하는 ‘현장 관리 에이전트’ 등 다양한 AI 에이전트를 순차적으로 도입할 예정이다.
또한 구매·물류·회계 등 사무 영역에는 엔터프라이즈 AI 워커를 적용해 구성원이 반복 업무에서 벗어나 고부가가치 활동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돕는다. 클라우드 기반 인프라 전환과 결합해 글로벌 법인 간 연결성과 운영 유연성도 크게 강화된다.
씨에스윈드 원진희 최고경영혁신본부장은 “미국 공장 실증을 통해 AI 에이전트의 효과를 확인했다”며 “SK AX와 함께 생산부터 경영 전 과정이 데이터와 AI 기반으로 전환되는 새로운 제조 모델을 구현하겠다”고 말했다.
SK AX 김민혁 제조·Global사업부문장은 “씨에스윈드와 함께 신재생에너지 산업에 최적화된 에이전틱 AI 운영 모델을 구축해 글로벌 제조 AX 혁신의 표준을 제시하겠다”며 “SK AX가 가진 제조 혁신 경험과 기술력을 기반으로 글로벌 제조 AX 생태계를 폭넓게 확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