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수목원, 국회서 ‘2025 DMZ 접경지역 지속가능 발전 심포지엄’ 개최

  • 등록 2025.11.07 11:29:23
크게보기

산림청 국립수목원(원장 임영석)은 국회의원 이인영 의원실, 서울대학교 환경계획연구소와 공동으로 11월 4일 국회도서관 회의실에서 ‘2025 DMZ 접경지역 지속가능 발전 심포지엄’을 열고, 비무장지대(DMZ) 일원의 생물다양성 보전과 지속 가능한 발전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심포지엄은 ‘DMZ 접경지역의 미래를 위한 준비’를 주제로, 생태·문화·공간적 가치를 조화시키는 지속가능한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 통일 시대를 대비한 남북 공동연구의 기반을 다지기 위해 마련됐다.

 

행사에는 김인호 산림청장, 이인영·서삼석 국회의원을 비롯해 행정안전부, 강화군·양구군 등 접경지역 지방자치단체, 북한대학원대학교, DMZ 생물다양성 보전네트워크 등 정부, 지자체, 학계, 민간 관계자 100여 명이 참석했다.

 

심포지엄은 이인영 의원의 기조발제 ‘접경지역 생물다양성 보전과 지속가능 발전 모색’을 시작으로, ▲강원도 생물권보전지역 운영 현황(황호섭 사무국장) ▲연천 임진강 지질공원 발전 사례(유미연 주무관) ▲DMZ 문화예술 프로젝트 성과(김선정 예술감독) ▲양구 백토마을 레지던스 조성 사례(정두섭 관장) ▲접경지역 발전과 미래 의제(박영민 원장) ▲DMZ와 접경지역의 미래 과제 제안(조경진 교수) 등 다양한 발표가 이어졌다.

 

이후 종합토론에서는 주신하 서울여대 교수를 좌장으로, 박미정 경기도 정책과장, 정윤희 강원연구원 연구원, 윤도현 생명의숲 협동처장, 임미려 DMZ숲 대표, 이봉우 국립수목원 DMZ산림생물자원연구과장 등이 참여해 접경지역의 보전과 발전을 위한 실천적 과제에 대해 심층 토론을 진행했다.

 

한편, 국립수목원이 주도하는 ‘DMZ 생물다양성 네트워크’는 2025년부터 ‘DMZ 생물다양성 보전과 지속가능한 발전 네트워크’로 확대·개편될 예정이다. 참여 기관은 현재 14개에서 단계적으로 늘어나며, 접경지역의 생태·문화·역사 자원을 종합적으로 조사·분석해 정부 정책과의 연계성을 강화할 계획이다.

 

임영석 국립수목원장은 “DMZ와 접경지역은 생물다양성의 보고이자, 한반도의 지속 가능한 미래를 준비하는 중요한 공간”이라며 “이번 심포지엄을 계기로 접경지역의 생태적 가치가 보전되고, 지역 발전과 남북 협력의 새로운 모델로 발전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DMZ가 단순한 군사 완충지대를 넘어 생태·문화·평화의 상징 공간으로 자리잡기 위한 실질적 논의의 장이 되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출처=산림청]

양세헌 기자 headyang1@gmail.com
Copyright @헤드라인경제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등록번호 : 경기,아53028 | 등록일 : 2021-10-07 | 제호명: 헤드라인 경제신문 | 주소 : 경기도 의정부시 평화로 216번길 13 발행 편집인 : 양세헌 | 전화번호 : 010-3292-7037 Copyright @헤드라인경제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