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가 지난해 8월 9일 새벽 경부선 구로역에서 발생한 코레일 장비열차 충돌사고에 대한 조사 결과를 내놓았다. 이 사고로 작업자 두 명이 숨지고 한 명이 다쳤으며, 전기설비 점검을 위해 투입된 모터카 작업 중 발생했다.
사고는 구로역 9번 선로에서 절연장치 교체를 위해 작업대를 펼치던 과정에서 시작됐다. 그러나 승인받지 않은 10번 선로 방향으로 작업대가 약 2.6미터 넘어가 있었고, 서울역으로 회송 중이던 선로 점검차가 약 시속 85킬로미터 속도로 10번 선로를 진행하던 중 이를 미처 피하지 못해 충돌했다. 운전원은 약 20미터 앞에서 작업대를 발견하고 급제동을 시도했지만 이미 충돌을 막기에는 거리가 부족했던 것으로 확인됐다.
사조위는 사고 직후 코레일에 세 가지 긴급 안전권고를 전달한 바 있다. 승인된 구간 내 작업 관리 강화, 모터카 작업대의 구조적 특성을 고려한 안전 범위 확보, 인접 선로 운행 차량 통제 방안 마련 등이 그 내용이었다. 이후 현장조사와 재연시험, 관계자 조사를 종합한 결과 직접적인 원인은 작업대가 옆 선로의 운행 보호 구간을 침범한 것이었다는 결론이 나왔다.
특히 구로역 10번과 11번 선로처럼 열차 운행과 작업이 동시에 이뤄지는 구간에서 적절한 통제 체계가 마련되지 않은 점이 사고의 핵심적 기여요인으로 지적됐다. 작업계획 단계에서 철도운행안전관리 협의가 충분히 이뤄지지 않았고, 임시 운전명령이 시스템에 반영되지 않아 실제 운행 정보가 현장에 제대로 전달되지 않은 점도 문제로 확인됐다.
사조위는 이번 사고를 중대한 인명피해 사례로 판단하고 코레일에 세 가지 안전대책을 마련할 것을 권고했다. 전차선로와 선로 작업의 승인 범위를 명확히 관리하고, 정거장 구간의 운전취급과 경계 관리체계를 보완하며, 관계자 간 정보 공유 체계를 개선해 작업자들이 열차 운행 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점이 핵심이다.
사조위는 권고 내용의 현장 이행 여부를 지속적으로 확인할 계획이며, 유사사고 재발을 막기 위한 관리체계를 강화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사고 관련 조사보고서는 11월 18일 사조위 누리집에서 공개될 예정이다.
이번 발표는 철도 작업환경에서 안전 통제 체계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환기시키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출처=국토교통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