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웅제약이 정부가 추진하는 AI 기반 신약 개발 플랫폼 구축 사업에 핵심 연구 파트너로 참여한다. 회사는 보건복지부가 주관하는 2025년도 K-AI 신약 개발 전임상·임상 모델 개발 사업의 공동 연구기관으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인공지능을 활용해 신약 개발 전 주기를 아우르는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한 국가 주도 프로젝트다.
대웅제약이 참여하는 과제는 역이행 연구 설계에 기반한 인공지능 소프트웨어 개발이다. 삼성서울병원이 주관하며 강북삼성병원과 대웅제약이 공동으로 참여하는 다기관 연구 체계로 운영된다. 역이행 연구는 임상에서 확보된 데이터를 역으로 분석해 전임상 연구 설계를 보완하는 기법으로, 신약 개발 과정에서 시행착오를 줄이고 임상 성공률을 높이기 위한 전략이다.
대웅제약은 향후 4년간 항암과 대사성 질환 등 다양한 연구 분야에서 축적해온 비임상 데이터를 AI 모델 고도화를 위해 제공한다. 또한 신약 센터에서 생산되는 연구 데이터를 활용해 개발된 AI 소프트웨어를 실제 연구에 적용하며 실증 검증도 진행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동물실험 모델 설계를 더 정교하게 하고, 비임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임상 결과를 예측하는 기술 역량 확보를 목표로 한다.
이번 프로젝트는 대웅제약이 자체 연구과제에 적용할 수 있는 맞춤형 AI 모델을 구축하는 데도 중요한 기반이 된다. 향후 항암·대사질환 중심의 AI 모델을 다양한 질환 영역으로 확장해 범용적 임상 AI 플랫폼을 구축하고, 이를 바탕으로 신약 파이프라인 확장에도 속도를 낼 계획이다.
대웅제약은 실제 모델 개발 과정에 직접 참여함으로써 연구 현장에서 AI 기술의 발전을 실시간으로 체감할 수 있으며, 이는 연구·개발 역량을 한 단계 끌어올리는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회사는 AI 기반 신약 개발 생태계 구축에 기여하며 미래 제약·바이오 기술 경쟁력을 강화하겠다는 목표를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