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물산과 삼성전자가 미국의 바이오테크 기업 ‘그레일(Grail)’에 총 1억 1천만 달러(약 1,500억 원)를 공동 투자한다고 16일(현지시간) 밝혔다. 이번 투자는 증상이 없는 사람의 혈액 한 번 채취만으로 50여 종의 암을 조기에 진단할 수 있는 혁신 기술 확보를 위한 전략적 행보다. 그레일은 인체 혈액 속에 존재하는 수억 개의 DNA 조각 중 암과 관련된 미세한 DNA 단편을 인공지능(AI) 기반 유전체 분석 기술로 선별해, 암의 발병 여부뿐 아니라 발생 부위까지 예측할 수 있는 독자적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그레일의 대표 제품 ‘갤러리(Galleri)’는 한 번의 혈액검사로 50여 종의 암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는 다중암 조기진단 검사로, 췌장암과 난소암처럼 기존에 표준 선별검사가 없던 암의 조기 발견 가능성을 높인 것이 특징이다. 2021년 출시 이후 약 40만 건 이상의 검사가 시행됐으며, 현재 영국 국립보건서비스(NHS)와도 대규모 임상시험을 진행 중이다. 그레일은 내년 중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을 신청할 예정이다. 이번 투자로 삼성물산은 한국 내 ‘갤러리’ 검사 독점 유통권을 확보했으며, 향후 싱가포르와 일본 등 아시아 주요 시장에서
BC카드(대표 최원석)는 AI 서비스 플랫폼 기업 뤼튼테크놀로지스(대표 이세영, 이하 뤼튼)에 실시간 결제 데이터 기반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17일 밝혔다. ‘뤼튼’은 한국형 생성형 AI 플랫폼으로, 정보 검색과 글쓰기, 과제, 업무 지원 등 다양한 작업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서비스다. 국내 환경에 특화된 기능을 통해 월간 활성 이용자(MAU) 700만 명을 돌파하며 국산 AI 서비스 중 최대 규모의 이용자를 확보하고 있다. 양사는 지난 15일 서울 중구 BC카드 본사에서 협약식을 열고, BC카드의 가맹점 데이터 API 제공을 통한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협약식에는 오성수 BC카드 상무와 뤼튼 유영준 최고운영책임자(COO)가 참석했다. 이번 협력을 통해 뤼튼에 탑재될 ‘eat.pl’ 서비스는 BC카드의 실시간 결제 데이터를 기반으로 AI가 맛집을 추천하고 가맹점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뤼튼은 사용자에게 보다 정확하고 신뢰성 높은 지역 상권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eat.pl’ 서비스는 앞서 지난 7월 글로벌 AI 서비스 ‘라이너(Liner)’에도 적용된 바 있으며, 다양한 AI 플랫폼에서 핵심 서비스로 자리매김하
동국제강그룹 계열사 동국씨엠(대표 박상훈)이 세계 최초로 천연석의 질감과 사실적인 디자인을 동시에 구현한 ‘듀얼 스톤(Dual Stone)’ 기술을 개발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기술이 적용된 신제품은 ‘더블 스톤(Double Stone)’과 ‘마블 스톤(Marble Stone)’ 2종으로, 현재 특허 출원 중이다. 더블 스톤은 천연석의 표면 색감과 질감을 그대로 재현했으며, 마블 스톤은 석분 입자의 거친 감촉과 무늬를 사실적으로 표현했다. 듀얼 스톤 기술은 기존 컬러강판의 한계를 넘어섰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기존 롤러 도장 방식은 부위별 압력 편차를 표현하기 어렵고, 반복 패턴이 짧아 인공적인 느낌이 강했다. 반면, 동국씨엠은 독자적인 표면 처리 기술로 깊고 입체적인 복합 질감을 구현했으며, 디지털 프린팅 기술을 접목해 패턴 길이를 기존 1m에서 최대 10m까지 확장시켜 자연스러움을 극대화했다. 또한, 동국씨엠의 고내식 도금강판(GIX·GLX)을 적용하면 폭염이나 폭설 등 극한 환경에서도 최대 30년 동안 변색이나 마모 없이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이번 기술 개발로 건축 자재 시장의 선택 폭이 더욱 넓어질 전망이다. 천연석 채굴 과정 없이도 동일한
한화가 급변하는 안보 환경 속에서 인공지능(AI) 기술을 기반으로 한 차세대 국방 체계를 공개하며 자주국방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한다. 한화 방산 3사(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화시스템, 한화오션)는 오는 20일부터 24일까지 일산 킨텍스에서 열리는 ‘서울 국제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ADEX) 2025’에 참가해 ‘AI Defense for Tomorrow’를 주제로 미래형 무기체계와 국방 기술 비전을 선보인다. 이번 전시는 한화가 역대 최대 규모인 1960㎡ 통합관을 설치해 진행하며, AI를 상징하는 대문자 A 형태의 구조로 구성됐다. 전시관은 중앙의 스페이스 존(Zone)을 중심으로 총 10개 존으로 나뉘어, 육·해·공·우주 영역에서 한화의 AI 기반 첨단 기술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기획됐다. ◇ AI로 연결된 한화의 첨단 무기체계 PGM 존에서는 처음으로 공개되는 ‘배회형 정밀유도무기(L-PGW)’가 눈길을 끈다. 천무 80km급 로켓체에 자폭 드론을 탑재한 이 무기는 비행 중 AI를 통해 표적을 정찰하고 위성 데이터링크로 정보를 송신한 뒤, 표적 타격 시 드론이 분리돼 정밀 타격을 수행한다. MUM-T(유무인복합) 존에서는 한국형 궤도형 무인지상차
LG생활건강이 인공지능 기반 비전 AI(Vision AI) 기술을 활용해 얼굴 부위별 노화 속도의 차이를 과학적으로 규명하는 데 성공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피부과학 분야의 국제 학술지인 피부연구학회지(Journal of Investigative Dermatology) 온라인판에 게재되며, 세계적으로 주목받았다. 이번 연구는 LG생활건강의 ‘피부 장수(Skin Longevity)’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얼굴 이미지를 기반으로 피부 변화를 분석한 한국인 대상 최대 규모의 연구다. 회사는 20세에서 60세까지의 한국인 여성 약 1만6000명의 고해상도 얼굴 이미지를 수집해 안면 특징점 추출 기술(Facial Landmark Detection)을 적용, 눈가·입술·얼굴 윤곽 등 68개 부위의 미세 변화를 인공지능으로 정량 분석했다. 분석 결과, 얼굴의 각 부위는 서로 다른 속도로 노화가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눈가는 50세 이전부터 처짐이 빠르게 진행되었고, 입술은 50세 이후부터 변화가 두드러졌다. 반면 얼굴 윤곽은 전 연령대에 걸쳐 꾸준히 변형이 진행됐다. 이에 따라 30~40대에는 눈가 주름 관리가, 50대 이후에는 입가 탄력 강화가 중요하다는 스킨케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