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광종, 왕의 길을 걷다
광종, 왕의 길을 걷다 검은 눈을 번뜩이며 세상을 품에 안은 한 사내가 왕좌에 앉았다. 그의 이름은 광종, 고려 제4대 왕. 그는 왕건의 손자였고, 강한 왕이었다. 그러나 강함만으로는 부족했다. 그는 고려를 다듬어야 했고, 그 자신도 변해야 했다. 광종이 왕위에 오른 것은 949년이었다. 그가 본 고려는 하나가 아니었다. 태조 왕건이 후삼국을 통일한 지 불과 13년밖에 지나지 않았지만, 그 통일은 이름뿐이었다. 호족들은 여전히 각자의 땅을 지배하고 있었고, 왕은 그들을 인정해야만 했다. 왕권은 허울뿐이었다. 광종은 그 허울을 벗겨내기로 했다. 그는 왕이 아니라, 고려 그 자체가 되고자 했다. 노비안검법, 권력을 위한 칼날 그가 먼저 손을 댄 것은 호족이었다. 그러나 그는 무력을 쓰지 않았다. 칼이 아니라 법으로 그들을 베었다. 그 법의 이름은 노비안검법이었다. 고려의 호족들은 전쟁 속에서 노비를 늘렸다. 전쟁은 끝났어도, 그들의 노비는 줄지 않았다. 많은 백성들이 빚을 갚지 못해 스스로 노비가 되었고, 호족들은 이를 당연하게 여겼다. 광종은 그것을 부정했다. 나라가 하나라면, 백성도 하나여야 한다. 그의 명령이 떨어졌다. 조사관들이 전국으로 퍼졌다. 호족들의
- 헤드라인경제신문 기자
- 2025-03-10 1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