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장. 국민당 정부 이주와 장제스 체제 — 전환의 시간 1945년, 태평양 전쟁이 끝났다. 일본은 항복했다. 대만은 반세기 만에 다시 새로운 이름으로 넘어갔다. 이번에는 중화민국의 이름으로. 그러나 이 새로운 통치는 환영받은 것만은 아니었다. 식민지 억압이 끝나기를 바랐던 대만인들은, 또 다른 억압이 기다리고 있으리라고는 예상치 못했다. 당시 대륙의 국공 내전은 격렬하게 진행 중이었다. 국민당 정부는 일본 패망 직후 혼란 속에 대만 행정을 인수했다. 장제스 정권은 대만을 전후 복구와 반공의 거점으로 삼으려 했다. 그러나 그 접근은 대만 사회의 복잡한 정서를 이해하지 못한 채 이루어졌다. 국민당이 파견한 관료들은 종종 본토에서 부패와 무능으로 악명 높던 관리들이었다. 그들은 일본 식민 체제의 인프라를 장악하는 데 급급했고, 민생 문제는 뒷전이었다. 물가는 폭등했고, 통화 개혁은 실패했다. 시장에는 가짜 상품과 암거래가 판쳤다. 그 와중에 공공 자산은 사유화되었고, 국민당 관료들과 그 측근들은 부를 축적하기 시작했다. 대만인 사회는 분노로 들끓었다. “일본인보다 더 못한 지배자들이다.” 이런 말이 골목마다 돌았다. 그 분노는 곧 폭발했다. 1947년 2월 27일
4장. 정성공과 한족 이주 — 귀명항청과 새로운 충돌 1661년 봄, 거센 바람과 검은 파도를 뚫고 수백 척의 군선이 남중국해를 가르며 전진하고 있었다. 배마다 노쇠한 병사들과 갓 징발된 농민들, 식량과 무기가 실렸다. 그들의 목적지는 명확했다. 대만 — 잃어버린 이상을 되찾기 위한 최후의 거점. 그들을 이끈 이는 정성공(鄭成功), 명나라 충신이었다. 명나라는 이미 북경에서 무너졌고, 남부의 마지막 저항도 꺼져가고 있었다. 그에게 남은 선택지는 많지 않았다. 그러나 그의 신념은 단 하나였다 — 반청 복명(反清復明). 대만은 그 꿈을 위한 무대가 될 운명이었다. 정성공의 함대는 타이난 인근에 상륙했고, 네덜란드군은 젤란디아 성에서 결사 항전했다. 9개월간의 포위전 끝에 성문은 열렸다. 네덜란드 깃발은 내려오고, 정성공의 군대가 섬을 장악했다. 이로써 유럽 열강의 시대는 일단 막을 내렸다. 그러나 진짜 이야기는 이제 시작이었다. 정성공의 이상과 현실은 곧 충돌했다. 그는 대만을 명나라의 임시 수도, 복명 운동의 거점으로 삼고자 했다. 섬 전체에 명나라 연호를 사용하고, 청조 관복을 금지하며, 중앙 집권적 군정을 수립했다. 그러나 한 가지 간과한 것이 있었다. 섬
1장. 서문 — 섬은 섬으로만 남지 않는다 아직 어둠이 덜 가신 새벽, 남쪽 항구에 서면 바람은 언제나 바다 쪽에서 밀려온다. 짙은 안개 속에서 선박의 윤곽이 아스라히 떠오르고, 철제 로프에 매달린 쇠고리가 차갑게 울린다. 항구 노동자들은 벌써 움직인다. 시간은 해안가 도시에서는 느리게 흘러가는 법이 없다. 이 섬은, 그렇게 언제나 밖으로 향하는 몸짓으로 깨어났다. 돌아볼수록 역사는 바다와 더불어 만들어졌다. 육지의 깊은 숲보다, 바다의 깊고 검푸른 저편이 더 많은 이야기를 실어왔다. 누군가는 대만을 ‘섬’이라 부른다. 그러나 섬은 결코 고립된 존재가 아니다. 고립이라는 단어는 인간이 나중에 덧씌운 관념일 뿐, 이 작은 대지 위에는 늘 외부의 바람이 드나들었다. 항로는 언제나 열려 있었고, 어딘가에서 온 이들은 늘 이곳에 발을 디뎠다. 그리고 다시 어딘가로 떠나갔다. 먼 옛날, 바람을 읽는 사람들이 있었다. 그들은 별과 바다의 결을 따라 항해했다. 그들의 목소리는 오늘날에도 산지 깊숙한 곳, 원주민 촌락에서 들려오는 노래 속에 숨어 있다. 그 뒤로 오랜 시간이 흘렀다. 외부에서 온 더 크고 빠른 배들이 이 섬의 해안을 포위했고, 이름 모를 지도로 그려냈다.
8장 냉전: 얼음 속의 열기 1945년, 세계는 새로운 전쟁을 맞이했다. 이번엔 총소리도, 전선도 없었다. 그러나 사람들은 매일 아침, 핵전쟁이 시작될지도 모른다는 두려움 속에서 눈을 떴다. 이것이 바로 냉전이었다. 뜨거운 이념의 대결이 얼음처럼 조용히 진행된 전쟁. 소련은 이제 더 이상 혁명의 나라가 아니었다. 그들은 스스로를 ‘반파시즘의 승리자’, ‘노동자의 낙원’, 그리고 ‘세계 질서의 또 다른 축’이라 여겼다. 그리고 그 축을 맞이한 상대는 미국이었다. 양국은 서로를 바라보며, 거울을 들이댔다. 그러나 그 거울 속엔 항상 왜곡된 자화상만 비췄다. 자신은 정의고, 상대는 악이었다. 냉전의 본질은 두려움이었다. 단순한 군사력의 대결이 아니라, 미래를 선점하려는 전쟁. 소련은 말한다. “우리는 인류의 진보를 대표한다.” 미국은 응수한다. “우리는 자유의 수호자다.” 이 말싸움은 곧, 로켓으로 이어졌다. 1957년, 소련은 인류 최초로 인공위성 ‘스푸트니크 1호’를 쏘아올린다. 이 작은 금속 공은 소련의 과학력, 체제의 우월성, 그리고 서구 세계에 대한 조용한 경고였다. 그 순간, 세계는 러시아가 단순한 강대국이 아니라, 우주를 향해 손을 뻗는 존재가 되었음
4장 피터 대제: 유럽을 향한 창 러시아는 오랫동안 자신이 유럽인지 아닌지, 확신하지 못한 나라였다. 서쪽 국경을 넘어서면 독일, 폴란드, 스웨덴과 마주쳤지만, 삶의 방식은 유럽과 달랐다. 언어도, 법도, 복장도, 심지어 시간 감각도 달랐다. 그런 러시아에 단 한 사람이 나타난다. 그는 유럽을 꿈꾸지 않았다. 유럽을 직접 수입하려 했다. 그 이름은 피터 대제(Peter the Great). 피터는 어린 시절부터 서양 문물에 매혹됐다. 하지만 단순히 궁정에서 유럽 책을 읽은 것이 아니었다. 그는 왕위에 있으면서도 가명을 쓰고 유럽을 직접 돌아다녔다. 배 만드는 기술을 배우기 위해 조선소 인부로 위장 취업했고, 네덜란드에선 목수들과 함께 배를 만들었으며, 영국에선 군사 훈련까지 직접 참관했다. 단지 흥미로 한 일이 아니었다. 그는 러시아 전체를 ‘다시 설계’하고자 했다. 1703년, 그는 진흙과 늪 위에 새로운 도시를 건설한다. 그 이름은 상트페테르부르크(Saint Petersburg). 그 도시는 바다를 향해 열려 있었다. “이곳은 유럽을 향한 창이다.” 피터는 그렇게 말했다. 하지만 유럽을 향한 창은, 동시에 러시아인들의 등을 향한 칼날이 되었다. 그는 유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