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갈등, 대화와 공감으로 통합을 이루자
현대 사회는 갈등의 시대다. 여당과 야당, 사용자와 노동자, 기성세대와 청년 세대, 수도권과 비수도권 등 다양한 분야에서 갈등이 격화되고 있다. 이 갈등은 단순한 의견 차이를 넘어 혐오와 적대로 발전하며 사회를 분열시키는 주된 원인이 되고 있다. 하지만 갈등은 반드시 나쁜 것만은 아니다. 적절히 관리하고 해소한다면 사회의 발전과 변화를 이끄는 동력이 될 수 있다. 갈등의 원인은 다양하지만, 근본적인 문제는 대화의 부재와 공감의 결여다. 각자 자신의 주장에 갇혀 상대의 입장을 이해하려 하지 않거나, 심지어 상대를 악마화하는 태도는 문제를 더욱 악화시킨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열린 대화와 공감, 두 가지가 필요하다. 첫째, 열린 대화는 갈등을 해소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의견이 다르더라도 서로의 생각을 경청하고 논의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해야 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단순히 상대방의 말을 듣는 것이 아니라, 그 말의 의도와 배경을 이해하려는 노력이 뒤따라야 한다는 점이다. 대화는 말하기와 듣기가 균형을 이루어야만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둘째, 공감은 상대방의 입장을 이해하고 그들의 감정을 인정하는 데서 출발한다. 공감은 단순한 동의와는 다르다. 동의
- 헤드라인경제신문 기자
- 2024-12-12 0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