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하를 품은 왕, 장수왕 왕좌에 오르다 평양성의 아침, 궁전에서는 고요한 바람이 흘렀다. 누군가는 조용히 역사를 써 내려가고 있었다. 칼과 말발굽 소리로 대지를 울린 왕들의 시대, 그 가운데서도 한 인물이 우뚝 섰다. 그의 이름은 장수왕. 그는 오랜 시간 고구려를 다스렸고, 제국의 운명을 바꾼 자였다. 장수왕은 광개토대왕의 아들이었다. 피는 끓었고, 운명은 정해져 있었다. 아버지가 넓힌 강토를 더 넓히고, 무너질 수 없는 나라를 만드는 것. 그가 왕위에 오른 것은 기원 413년, 젊은 나이였다. 그러나 그 어깨에 걸린 책임은 무거웠다. 단순한 정복자가 아니라, 지켜야 할 나라의 왕이었다. 수도를 옮기다 그는 생각했다. 고구려가 진정 강한 나라가 되려면, 싸움만으로는 부족하다. 칼날은 언젠가 무뎌지지만, 강한 기둥은 세월이 지나도 무너지지 않는다. 그는 수도를 옮기기로 결심했다. 427년, 고구려의 심장을 국내성에서 평양으로 옮겼다. 단순한 도읍의 이동이 아니었다. 이것은 남쪽을 향한 새로운 시대의 시작이었다. 대륙을 넘어 한반도 깊숙이 들어가겠다는 선언이었다. 백제를 무너뜨리다 수도를 옮긴 후, 장수왕은 백제를 압박했다. 강력한 왕권과 넓어진 국경을 바탕으로
강가에 선 한 사내의 눈빛이 번쩍였다. 광개토대왕. 겨우 열여덟의 나이에 왕위에 올라 장대한 북방의 강역을 지배한 사내. 피가 끓고, 바람이 분다. 이 대지의 주인이 누구인가. 바람은 말발굽 소리에 떨고, 강은 전쟁의 함성에 출렁인다. 고구려는 원래 그랬다. 땅이 넓어야 숨을 쉴 수 있었고, 칼날이 번뜩여야 적이 감히 넘볼 수 없었다. 아버지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오른 그날, 소년왕 담덕의 가슴엔 오직 한 가지 생각뿐이었다. ‘고구려의 넓은 강산을 더욱 넓히리라.’ 광개토대왕은 말 위에 올라 바람을 가르며 전장을 누볐다. 요동을 제 손에 쥐었고, 백제의 성을 불태웠으며, 신라가 도와달라 손을 내밀자 달려가 왜구를 몰아냈다. 한강을 두고 백제와 맞섰고, 북으로는 부여를 평정했다. 그 손길이 닿는 곳마다 고구려의 깃발이 펄럭였다. 한 나라의 왕이 아니라 대륙의 주인이었다. 전쟁터에 나서면 광개토대왕은 앞장섰다. 무거운 갑옷을 입고도 누구보다 먼저 창을 들었고, 땀에 젖은 머리칼이 흩날려도 뒤를 돌아보지 않았다. 부하들이 물었다. “전하, 어찌하여 몸소 창을 드십니까?” 왕이 웃으며 대답했다. “내가 아니면 누가 앞장서겠느냐.” 적들은 두려워했다. 광개토대왕이 움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