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상청은 올여름 폭염에 대한 선제적 대응을 위해 오는 6월부터 9월까지 ‘폭염 영향예보 직접 전달 서비스’를 전국 단위로 운영한다고 18일 밝혔다. 이 서비스는 사용자가 가족이나 지인이 거주하는 지역을 사전에 설정하면, 해당 지역의 폭염 위험 수준과 대응 요령을 카카오톡 메시지로 실시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시스템이다. 기상청은 이를 통해 타지역에 사는 가족 간의 소통을 촉진하고, 어르신 등 폭염 취약계층의 피해를 줄이겠다는 목표다. 폭염 영향예보는 단순한 기온 예보를 넘어 사회·경제적 영향을 고려해 폭염 위험 수준을 ▲관심 ▲주의 ▲경고 ▲위험의 4단계로 나누고, 보건 등 6개 분야에 걸친 대응 요령을 함께 안내하는 실생활 밀착형 예보다. 기상청은 2022년부터 경남과 전남 일부 지역에서 농촌 거주 어르신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시범 운영해 왔으며, 2024년에는 온열질환자 '0명'이라는 성과를 기록했다. 설문조사에서는 이용자 만족도 95%, 서비스 확대 필요성 98%로 응답되어 효과성과 수요 모두 입증된 바 있다. 세계기상기구(WMO)의 발표에 따르면 2015~2024년은 전 세계적으로 기록적인 고온을 보인 시기이며, 2024년은 산업화 이전 대비 1.5
기상청(청장 장동언)은 12월 23일부터 ‘기후변화 상황지도(climate.go.kr/atlas)’를 본격 운영한다고 밝혔다. 해당 서비스는 국민 누구나 쉽게 우리 동네의 기후변화 추세와 미래 전망을 지도 기반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개발됐다. 기후변화 상황지도는 과거부터 미래 2100년까지 기온, 강수량, 바람 등 주요 기후 요소에 대한 변화 추세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서비스다. 기존 시범서비스에서는 국가 기후변화 표준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기후 요소와 극한기후지수를 지도에 분포도로 제공했다. 이 정보는 국가 및 지방정부의 기후위기 적응대책 수립, 연구 및 교육 등에 활용되어 왔다. 이번 본격 서비스에서는 기존 기능에 더해 △농업·보건 등 4개 부문의 기후변화 응용지수 18종 △시설물 설계기준에 따른 강수량 빈도·강도 정보 △온실가스 및 오존 등 지구대기 감시정보가 추가됐다. 이를 통해 특정 지역의 기후변화 감시 및 예측정보를 종합적으로 조회할 수 있다. 기상청은 국가 기후변화 표준 시나리오의 관리·운영 기관으로서, 향후 △사회·경제 △동물·생태계 △보건 등 부문별 기후변화 영향정보를 제공하고, 사회 가치 경영(ESG)과 관련된 기후공시 활용도를 높일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