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년 전 금강산의 생명을 들여다보다…국립수목원, 일제강점기 사진 공개
산림청 국립수목원이 광복 80년을 맞아 100년 전 금강산의 자연과 식물을 담은 일제강점기 사진을 국민에게 공개한다. 이번에 공개되는 사진은 1917~1918년, 미국 하버드대학교 아놀드수목원의 식물탐험가 어니스트 헨리 윌슨(E.H. Wilson)이 금강산과 한반도 전역을 조사하며 촬영한 기록이다. 국립수목원은 지난 6월 하버드대 아놀드수목원과 LOI(의향서)를 체결하고, 이를 바탕으로 이번 자료를 확보했다. 윌슨이 남긴 이 사진들에는 금강산의 생태와 사찰 등 문화재, 인물들의 모습까지 당시 조선의 자연과 삶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공개된 사진에는 금강산의 명소인 귀면암, 구룡폭포, 표훈사, 장안사 등이 포함돼 있으며, 오늘날 출입이 어려운 북한 지역의 산림 생태와 문화유산의 과거 모습을 생생히 보여주는 희귀 사료로 주목된다. 윌슨은 당시 노트에 “금강산은 거대한 화강암 덩어리이며, 가파른 절벽에 소나무와 전나무가 박혀 있다”고 기록하며 생태적 특징도 자세히 남겼다. 이번 공개는 단순한 사진 전시에 그치지 않는다. 국립수목원은 7월 30일까지 ‘자연유산 기억 확산’을 주제로 한 국민 사진 공모전을 개최하고 있으며, 8월에는 산림박물관에서 “우리 식물의 잃어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