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부터 전기차까지… 한국 주도한 국제특허분류 개정 논의 성료
특허청이 지난 3월 24일부터 28일까지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에서 개최한 ‘제28차 선진 5개국 특허청(IP5) 국제특허분류 실무그룹(WG1) 회의’가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이번 회의는 세계 특허 출원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한국, 미국, 일본, 중국, 유럽 특허청이 협력해 국제특허분류(IPC) 체계를 개정하고 고도화하는 논의의 장으로 마련됐다. 회의에서는 로봇, 전기자동차, 바이오 등 첨단기술 분야를 중심으로 총 32개 분류 개정 제안과 프로젝트가 심도 있게 논의됐다. 이 중 헬리코박터균 등 미생물과 바코드 인식 기술 등 6개 프로젝트는 IPC 개정을 관할하는 세계지식재산기구(WIPO)의 회의 안건으로 상정되었으며, 수술로봇과 전기차 충전장치 관련 11개 제안은 정식 개정 프로젝트로 승격돼 향후 논의가 이어질 예정이다. 아울러 각국 특허청은 인공지능을 활용한 특허문헌 분류 동향, 탄소중립 기술을 지원하기 위한 분류 정책, 그리고 미국·유럽의 공동특허분류(CPC)와 일본의 파일인덱스(FI) 등 각국 독자적 특허분류체계 개정 현황에 대해서도 정보를 공유했다. 이번 회의에는 의장국인 한국을 비롯해 미국, 일본, 중국, 유럽의 특허청과 WIPO에서 온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