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딥페이크 기술’ 주제로 제3회 디지털 심화쟁점 공동토의 개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상임, 이하 과기정통부)는 11월 20일(수) 오후 2시, 온드림소사이어티 커뮤니티 스페이스에서 “이미지 합성 기술(딥페이크) 바로보다”라는 주제로 ‘제3회 디지털 심화쟁점 공동토의(콜로키움)’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공동토의는 26개 부처가 협력하여 마련한 ‘새로운 디지털 질서 정립 추진계획’(국무회의 보고, 5월 21일)과 ‘디지털서비스 민생지원 추진단’(10월 18일)의 후속 조치로, 앞서 다룬 인공지능 안전·신뢰(7월 4일), 디지털 접근성(9월 25일)에 이어 세 번째로 열린 자리다. 딥페이크 기술과 활용 방안, 범죄 대책 논의 행사에서는 이독실 과학평론가가 「이미지 영상 조작(딥페이크)은 우리 삶을 어떻게 바꿀 것인가」를 주제로 딥페이크 기술의 이해와 올바른 활용 방안을 강연했다. 이어 표창원 범죄과학연구소장은 「딥페이크 가짜뉴스의 범죄심리와 대책」 강연을 통해 범죄 심리학적 관점에서 딥페이크 관련 범죄의 원인과 대응 방안을 제시했다. 가짜뉴스 근절 위한 정부의 노력 정부는 그동안 이미지 합성 기술(딥페이크) 범죄에 대응하기 위해 민관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지난 5월 국무회의에서 보고된 ‘새로운 디지털 질서 정립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