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청은 국내 대학교 보건관리자 및 외국인 유학생 담당자들이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외국인 유학생 관리자 주요 감염병 대응요령」을 제작·배포했다고 18일 밝혔다. 최근 국내에 체류 중인 외국인 유학생 수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한국교육개발원 통계에 따르면 2021년 15만 명 수준이던 외국인 유학생은 2024년 기준 20만8천 명을 넘어섰다. 이에 따라 해외에서 유입될 수 있는 호흡기 감염병의 집단발생 가능성도 높아져, 대학교 내 신속한 예방과 대응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번 대응요령에는 집단감염 우려가 큰 결핵, 홍역, 백일해에 대한 감염 특성과 예방수칙, 의심 환자 발생 시 조치 요령 및 보고 체계 등이 포함됐다. 현장 관리자들이 즉시 활용할 수 있도록 실용적인 내용 위주로 구성됐다. 대응요령은 질병관리청 누리집과 국립국제교육원 한국유학종합시스템에서 내려받을 수 있다. * 질병관리청(https://www.kdca.go.kr/) > 알림‧자료 > 홍보자료 > 홍보지 * 국립국제교육원(https://www.studyinkorea.go.kr/) > 한국유학종합시스템 > Notice > 유용한 정보 > Life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2025년 제1회 질병 예방·관리 주간을 맞아 오는 4월 8일, ‘성별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과학적으로 분석하는 ‘성차 기반 질환 연구’를 주제로 제8차 「건강한 사회 포럼」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건강한 사회 포럼’은 공중보건 위협에 대한 과학적 대응을 모색하고, 질병관리청의 미래 전략을 전문가들과 함께 논의하는 장으로, 2023년 7월부터 시작되어 현재까지 총 7차례 이어져 왔다. 이번 8차 포럼은 성차의학이라는 새로운 의학 패러다임을 조명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이날 포럼에서는 김나영 교수(분당서울대병원 성차의학연구소장)가 ‘우리나라 성차의학 연구 동향 및 남녀 모두를 위한 성차의학 전략’을 발표한다. 이어 국립보건연구원 유전체역학과 임중연 과장이 ‘성차의학 연구개발사업 추진계획’을 소개한다. 이후에는 의료계·학계·연구기관의 전문가들이 참여한 패널 토론을 통해 성차 기반 질환 연구의 방향성과 과제를 심도 있게 논의할 예정이다. 성차의학(Sex/Gender-specific Medicine)은 생물학적 성(性)과 사회적 성(젠더)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과학적으로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보다 정밀하고 개인화된 의료 서비스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