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1.28 (화)

  • 맑음동두천 6.1℃
  • 맑음강릉 7.7℃
  • 맑음서울 7.4℃
  • 맑음대전 10.1℃
  • 맑음대구 12.0℃
  • 맑음울산 11.9℃
  • 맑음광주 11.2℃
  • 연무부산 12.6℃
  • 맑음고창 8.6℃
  • 맑음제주 13.0℃
  • 맑음고산 11.0℃
  • 맑음성산 13.1℃
  • 구름조금서귀포 15.6℃
  • 맑음강화 4.8℃
  • 맑음보은 9.5℃
  • 맑음금산 8.9℃
  • 맑음강진군 12.7℃
  • 맑음경주시 11.9℃
  • 맑음거제 11.9℃
기상청 제공

경제

제주삼다수, 용기 무게 12% 경량화 성공…연간 3400톤 플라스틱 절감 기대

제주삼다수를 생산·판매하는 제주개발공사(사장 백경훈)는 제주삼다수 전 품종의 용기 무게를 약 12% 감량하는 데 성공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는 환경 보호와 품질 강화를 동시에 달성한 혁신적인 성과로 주목받고 있다.

 

 

제주개발공사는 기존 디자인을 유지하면서도 친환경성과 품질을 강화하기 위해 지난 1년간 용기 경량화에 집중해왔다. 그 결과, 용기 무게를 약 12% 줄이는 동시에 압축 강도를 개선하며 품질과 친환경 가치를 모두 실현했다.

 

경량화된 제품은 올해 1월부터 본격적으로 생산 및 판매를 시작했다. 이를 통해 연간 약 3400톤의 플라스틱 사용량 절감과 8000톤의 탄소 배출량 감축 효과가 기대된다.

 

제주개발공사는 친환경 생산체계를 강화하기 위해 포장재 무게 감축, 재생원료 활용 확대, 무라벨 제품 생산 증대 등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2026년 시행 예정인 먹는샘물 무라벨 100% 의무화 정책에 대비해 2023년 9월 업계 최초로 제품 뚜껑에 QR코드를 도입했으며, 무라벨 제품 ‘제주삼다수 그린’을 2021년부터 선보이며 전 생산라인에 무라벨 생산 기반을 구축했다.

현재 무라벨 제품의 생산 비중은 약 65%에 달하며, 2026년까지 100% 무라벨 전환을 목표로 하고 있다.

 

백경훈 사장은 “제주삼다수 용기 경량화는 환경 보호와 품질 혁신을 동시에 이뤄낸 중요한 성과”라며 “지속 가능한 생산체계를 구축해 ‘2040 플라스틱 제로 제주’ 정책 실현에 기여하고, 환경을 중시하는 소비자들의 기대에 부응하겠다”고 밝혔다.

 

제주개발공사는 2021년 발표한 친환경 경영 비전 ‘그린 홀 프로세스(Green Whole Process)’를 기반으로, 생산부터 수거, 새활용까지 전 과정을 친환경으로 전환하는 사업 모델을 구축하며 친환경 경영에 앞장서고 있다.

 

제주개발공사는 앞으로도 지속 가능한 혁신을 통해 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제품과 생산 방식을 선보이며 소비자와 함께하는 친환경 브랜드로 자리매김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