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10명 중 6명은 현재 자신의 일에 대해 불안감을 느끼고 있으며, 상당수는 직무 전환 의사는 있지만 실현 가능성에 대해 회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건설직, 보건·의료직, 연구·개발직 종사자들이 상대적으로 높은 불안도를 보였다.

국민 대표 일자리 플랫폼 벼룩시장이 직장인 1224명을 대상으로 ‘직무 불안정성’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59.0%가 현재 하고 있는 직무에 대해 불안감을 느끼고 있다고 답했다. ‘보통’이라는 응답은 31.7%, ‘불안감을 느끼지 않는다’는 응답은 9.3%에 그쳤다.
직무별로는 건설직이 78.6%로 가장 높은 불안감을 보였고, 보건·의료직(69.2%), 연구·개발직(67.1%)도 그 뒤를 이었다. 반면 금융직(26.1%), 교육직(48.7%), 사회복지직(50.0%), 생산직(51.6%)은 비교적 낮은 수준을 보였다.
직무 불안의 주요 원인으로는 ‘낮은 급여’가 22.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어 ‘나이에 영향을 받는 직업’이라는 이유가 16.4%, ‘비전이 불확실한 직업’(13.5%), ‘워라밸이 좋지 않은 직업’(12.6%)이라는 응답도 많았다. 이외에도 AI 등 기술·기계로 대체 가능성이 있는 직업(10.6%), 수요 감소가 예상되는 직업(10.5%)이라는 응답도 있었다.
직무 전환에 대한 의향을 묻는 질문에는 응답자의 87.7%가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구체적으로는 ‘직무 전환 의사가 있다’는 응답이 45.2%로 가장 많았고, ‘전환 의사는 있지만 불가능할 것 같다’는 응답이 25.9%, ‘현재 준비 중’이라는 답변이 16.7%로 나타났다. 반면 ‘의향이 없다’는 응답은 12.3%에 불과했다.
연령대에 따라 인식 차이도 뚜렷했다. 20대의 경우 91.0%가 직무 전환 의향을 밝혔다. 반면 30대 이상에서는 전환 의사는 있지만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인식이 많았다. 30대는 33.8%, 40대는 34.5%, 50대는 45.0%가 ‘불가능할 것 같다’고 답했다.
직무 전환이 어려운 이유로는 ‘실패에 대한 두려움’이 23.6%로 가장 많았고, ‘기존 커리어 포기에 대한 부담’(21.0%), ‘자신의 역량 부족’(19.1%), ‘마땅한 대안 부재’(17.8%)도 주요 이유로 꼽혔다. 경제적 부담(12.7%)이나 퇴직을 앞둔 상황(5.7%) 등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환하고 싶은 직무는 사무직이 30.8%로 가장 많았고, 연구·개발직(13.8%), 사회복지직(11.2%), 서비스직(10.2%), 문화·예술직(8.6%)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반면 현재 불안감이 높다고 꼽힌 건설직, 금융직은 각각 2.2%, 2.8%로 선호도가 낮았다.
직무 전환 시 고려 요소로는 ‘나이와 관계없이 오래 일할 수 있는 직무인지’가 24.8%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적성(18.2%), 미래 전망(13.8%), 급여 수준(11.7%), 워라밸(9.5%) 등이 뒤를 이었다. 이외에도 기술 대체 가능성이나 사회적 인지도 등도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확인됐다.
이번 조사 결과는 많은 직장인이 현 직무에 불안감을 느끼고 있고, 변화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지만 여전히 넘어야 할 심리적·현실적 장벽이 크다는 점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