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이 올해 과수 개화 시기가 평년보다 빨라질 가능성이 높다며 농가에 철저한 대비를 당부했다. 기온 상승과 기상 변동성 증가로 인해 지역별 편차가 클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과수원 관리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이번 예측은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이 1월 1일부터 3월 20일까지의 기상자료를 바탕으로 자체 개발한 생물계절 예측 모형을 활용해 분석한 결과다. 이 모형은 과일나무의 휴면 타파 시점 이후 발육 속도를 계산해 꽃이 활짝 피는 ‘만개 시기’를 예측하는 방식이다. 단, 이후 실제 기상 변화에 따라 개화 시기는 달라질 수 있다.
복숭아 ‘유명’ 품종의 만개 시기는 전북 전주가 4월 8일부터 10일 사이로 가장 빠르고, 이어 경북 청도 4월 12∼14일, 경기 이천 4월 17∼19일, 강원 춘천은 4월 18∼20일로 예상된다.
배 ‘신고’ 품종은 울산 지역이 4월 7∼10일, 전남 나주 4월 10∼13일, 경기 이천과 충남 천안은 4월 15∼21일경 만개할 것으로 전망됐다.
사과 ‘후지’ 품종은 경남 거창과 대구 군위가 4월 18∼20일 사이에 가장 먼저 꽃이 필 것으로 보이며, 전북 장수는 4월 20∼22일, 경북 영주와 충북 충주는 4월 21∼23일, 경북 청송은 4월 28∼30일로 다소 늦게 개화할 것으로 예측된다.
농촌진흥청은 기온이 갑자기 오르면 눈 트는 시기와 꽃 피는 시기가 예상보다 앞당겨질 수 있어, 늦서리 등 저온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꽃이 일찍 피었을 경우 예기치 않은 저온이 찾아오면 열매가 제대로 맺지 못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농가에서는 기상 예보를 수시로 확인하고, 방상팬이나 미세살수 장치와 같은 재해 예방 설비를 미리 점검해 피해를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사과의 경우 인공수분 시기와 방법도 중요하다. 중심화보다 측화가 저온에 강하기 때문에 인공수분은 가지 옆쪽의 꽃을 중심으로 진행해야 하며, 꽃가루를 옮기는 곤충은 수분 7~10일 전에 과수원에 방사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아울러 잡초에 핀 꽃을 제거하면 곤충이 사과꽃으로 몰리게 되어 수분 효율이 높아진다.
김대현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작물부 부장은 “과수 재배 농가는 작목별 개화 시기에 맞춰 기온 변동에 철저히 대응하고, 열매가 안정적으로 달릴 수 있도록 사전 대비에 힘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출처=농촌진흥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