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이 미국 내 제조업 정책 논의의 중심 무대에 올라 자사의 전략과 비전을 공유했다. LG화학은 28일(현지시간) 테네시주 내슈빌에서 열린 ‘테네시 제조업 포럼(Tennessee Manufacturing Forum)’에 참가해 배터리 소재 산업의 공급망 내재화와 외국인 투자 유치에 대한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테네시 제조업의 성장’을 주제로 열린 이번 포럼은 테네시 상공회의소가 주관하는 행사로, 정부, 산업계, 학계 관계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첨단 제조업 육성을 위한 정책과 지역 산업 전략을 공유하는 자리였다.
LG화학에서는 최고지속가능전략책임자(CSSO) 고윤주 전무가 패널로 참여했다. 고 전무는 엘렌 보든 테네시주 경제개발부 부장관, 미국화학협회, 테네시 주립대 등 주요 인사들과 함께 배터리 소재 산업의 미래와 글로벌 공급망 전략을 중심으로 심도 있는 토론을 진행했다.
고 전무는 “LG화학의 테네시 양극재 공장은 미국 내 전기차 배터리 소재 공급망을 구축하는 데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며 “자체 공급망 확보를 추진 중인 미국 정부와 LG화학의 전략이 맞닿아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미국의 첨단 산업 성장을 위해서는 외국인 직접투자를 촉진할 수 있는 연방 차원의 정책적 지원과 보조금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말했다.
LG화학은 현재 테네시주 클락스빌에 약 170만㎡ 규모의 부지를 확보하고, 2조 원을 투자해 연간 6만 톤 규모의 양극재 공장을 건설 중이다. 오는 2026년 가동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완공 시 고성능 전기차 약 60만 대에 필요한 양극재를 생산할 수 있는 미국 최대 규모의 생산기지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
시장조사기관 S&P에 따르면 미국은 전체 전기차 배터리 생산 능력의 약 75%를 내재화했지만, 양극재와 전구체 등 핵심 소재 부문에서는 내재화율이 여전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LG화학의 테네시 공장은 이러한 구조적 한계를 보완할 전략적 시설로 평가받고 있다.
조쉬 브라운 테네시 상공회의소 회장은 “이번 포럼은 미국 제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해법을 모색하는 중요한 자리였다”며 “LG화학과 같은 글로벌 선도기업의 참여는 지역뿐 아니라 미국 전체 산업 생태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고 밝혔다.
테네시주는 전통적으로 제조업 비중이 높은 지역으로, 최근 들어 배터리, 반도체 등 첨단 산업 유치를 위한 정책적 지원을 강화하며 글로벌 기술기업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