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5 (토)

  • 흐림동두천 8.0℃
  • 맑음강릉 8.5℃
  • 흐림서울 9.5℃
  • 구름많음대전 8.9℃
  • 구름많음대구 10.1℃
  • 구름많음울산 9.5℃
  • 흐림광주 10.2℃
  • 흐림부산 10.4℃
  • 흐림고창 7.2℃
  • 흐림제주 10.4℃
  • 흐림고산 11.3℃
  • 흐림성산 10.0℃
  • 흐림서귀포 11.4℃
  • 흐림강화 6.8℃
  • 구름많음보은 5.9℃
  • 구름많음금산 6.8℃
  • 흐림강진군 9.5℃
  • 구름많음경주시 6.3℃
  • 구름많음거제 8.5℃
기상청 제공

사회

예측 불가 시대의 산불, ‘선제적 대응’이 유일한 해법

기후변화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산불 발생 시기와 규모가 불규칙해지는 가운데,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이 ‘선제적 예방 조치’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나섰다. 최근 국내외에서 나타난 산불 사례들은 모두 기상이변과 맞물리며 대형화된 공통점을 갖고 있다.

 

 

특히 지난달 영남 내륙에서 발생한 초대형 산불은 강풍과 고온, 극심한 건조 현상이 동시에 발생하며 빠르게 확산돼 유례없는 피해를 야기했다. 당시 해당 지역은 겨울철 이상고온이 지속됐으며, 이처럼 계절을 가리지 않는 이상기후는 산불의 예측을 더욱 어렵게 만들고 있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이제 산불은 특정 계절에만 발생하는 재난이 아니라, 연중 발생 가능한 일상적 위협으로 봐야 한다”며, 기후변화에 따라 산불 발생 양상이 점점 불확실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러한 흐름은 해외에서도 예외가 아니다. 지난 1월 미국 캘리포니아 LA에서 발생한 대형산불은 그동안 산불이 주로 발생했던 6월~12월이 아닌, 이례적으로 1월에 발화했다. LA 지역은 최근 수십 년간 건조 일수가 31일이나 증가했으며, 특히 2024년 5월 이후 강수량이 평년의 4%에 불과할 만큼 극심한 건조 상태가 이어지고 있다. 이처럼 장기간 이어지는 가뭄과 건조는 산불의 도화선 역할을 하고 있다.

 

일본도 예외가 아니다. 2월 일본 이와테현에서 발생한 대형산불은 해수면 온도 상승으로 인한 강풍과 건조한 날씨가 복합 작용한 결과였다. 이 지역의 해수면 온도는 평년보다 3℃ 높았고, 강수량은 평년 대비 6%에 불과했다. 건조주의보가 발령된 상태에서 강한 바람이 불자 산불은 순식간에 확산됐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산불연구과 오정학 과장은 “산불은 사후 대응보다 선제적 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작은 불씨 하나가 엄청난 재앙으로 번질 수 있다는 인식을 가지고 평소부터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산불 예방을 위한 생활 속 실천으로 산림 인접지에서의 소각 행위 자제, 쓰레기 투기 금지, 캠핑 시 화기 관리 철저 등을 꼽고 있다. 더불어 산불 취약 지역에 대한 항공 감시와 기후 기반 산불 예측 시스템 고도화 등 과학적 대응 체계 확립도 병행되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출처=산림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