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1 (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구름많음고산 26.4℃
  • 구름많음성산 26.1℃
  • 흐림서귀포 27.7℃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사회

학력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 낮다… 고학력 직무 미스매치, 한국은 OECD 최상위권

한국 사회의 과도한 교육열이 노동시장 내 직무 미스매치로 이어지면서 고학력자들의 삶의 만족도까지 낮추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직업능력연구원(원장 고혜원)은 6월 30일 ‘THE HRD REVIEW 28권 2호’에서 국제성인역량조사(PIAAC) 2주기 자료를 분석한 결과, 학력과 직무 간 불일치가 개인의 직장 및 삶의 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밝혔다.

 

국제성인역량조사(PIAAC)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주관하는 국제 조사로, 16세부터 65세까지 성인을 대상으로 역량 수준을 비교 평가한다. 이번 분석에서는 한국 노동시장의 학력 및 역량 미스매치 현황과 그에 따른 삶의 질 영향이 주요하게 다뤄졌다.

 

조사에 따르면 한국은 기술 역량 부족을 호소하는 비율이 OECD 평균과 유사하거나 낮은 편이었지만, 특정 핵심 역량에서 뚜렷한 열세를 보였다. 특히 의사소통 및 발표 능력 영역에서는 한국 응답자의 33%가 역량 부족을 느낀다고 응답해 OECD 평균 26%보다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이는 한국 직장 문화에서 소통과 발표에 대한 부담이 높고, 자신감 결여 등이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더불어 학력 과잉자는 직무 요구 수준에 비해 학력이 높은 경우를 말하는데, 이들은 평균적으로 삶의 만족도가 4%포인트가량 낮았다. 한국은 미국, 이스라엘, 벨기에 플랑드르, 스위스에 이어 학력 과잉자의 삶의 만족도 격차가 큰 국가로 분류됐다. 그 격차는 약 8~12%포인트로, 고학력자의 직무 미스매치가 개인의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역량 수준과 직무 간 불일치도 중요했다. 자신의 스킬이 직무보다 낮다고 인식하는 집단은 가장 낮은 삶의 만족도를 보였으며, 이는 직무 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는 해석이 뒤따랐다. 반대로 자신의 역량이 직무보다 높다고 느끼는 경우에는 오히려 삶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보고서를 작성한 한국직업능력연구원 이수현 부연구위원은 “학력 및 역량 미스매치는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한국 사회 전반의 효율성과 지속가능성에 직결되는 과제”라며 “직무 기반 채용 및 보상 체계 구축, 교육기관과 산업 간 연계 강화, 직장 기반 훈련과 중장년층 맞춤형 교육 등 정책적 대응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