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DS가 제조 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기 위한 최신 기술과 전략을 대거 공개했다. 삼성SDS는 16일 서울 잠실 스카이31 컨벤션에서 제조 기업 관계자 3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조의 미래를 준비하는 삼성SDS Industry Day’를 성황리에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는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 기술과 ERP, MES, PLM, OT 보안 등 제조업에 특화된 솔루션을 중심으로, 실제 도입 사례와 성공적인 혁신 전략을 공유하고자 마련됐다. 삼성SDS는 특히 AI 기반 자동화, 통합 운영 시스템 구축, 생산 보안 체계 강화 등 제조 환경 전반의 디지털 전환을 위한 전략을 전면에 내세웠다. ‘AI 에이전트: 하이퍼오토메이션 핵심 노트’ 세션에서는 자동화 고도화의 핵심 요소와 실제 사례를 소개하며, 생성형 AI가 제조 프로세스에 미치는 영향과 효율 향상 가능성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했다. ERP, MES, PLM 등의 솔루션은 AI 기술과 융합되며, 현장의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스마트 시스템으로 진화하고 있다. 삼성SDS는 이와 관련된 최적화 사례와 활용 전략을 공유하며, 제조업체들이 기술 도입 시 마주할 수 있는 고민을 해결하는
LG CNS가 구글 클라우드와 손잡고 아시아태평양과 미주 지역에서 클라우드 기반의 고객 경험 혁신(AX, Application eXperience) 사업 확대에 나선다. 특히 헬스케어와 바이오 산업을 신성장 동력으로 삼아 글로벌 AX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LG CNS는 최근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구글 클라우드 넥스트 2025’ 행사에 참석해, 구글 클라우드 CEO 토마스 쿠리안과 아시아태평양 총괄 카란 바즈와 등과 만나 전략적 협력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양사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의 전방위 협력을 바탕으로 글로벌 시장 공략을 본격화하기로 뜻을 모았다. 이번 협력을 통해 LG CNS는 자체 클라우드 및 AI 기술력에 구글의 생성형 AI 모델 ‘제미나이’와 기업용 플랫폼 ‘버텍스 AI’ 등을 접목해 수백 개의 산업 맞춤형 생성형 AI 서비스를 개발할 예정이다. 제조, 금융, 유통, 통신, 공공 등 폭넓은 분야에 걸쳐 기업 고객의 전사적 AI 도입을 가속화하겠다는 구상이다. 특히 LG CNS는 급성장 중인 글로벌 헬스케어 및 바이오 시장을 전략적 타깃으로 설정했다. 한국바이오협회 산하 바이오경제연구센터에 따르면, 세계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은
온라인마케팅연구원의 교육 브랜드인 키위아카데미가 오는 4월 12일 금요일 오후 9시, ‘생성형 AI를 활용한 영상 제작 마스터하기’를 주제로 무료 온라인 특강을 진행한다. 이번 강의는 영상 제작 초보자도 쉽게 따라 할 수 있도록 구성된 실무 중심의 교육으로, 콘텐츠 제작에 관심 있는 예비 크리에이터나 마케터, 1인 기업가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강의는 줌(Zoom)을 통해 실시간으로 진행되며, 강사로는 Microsoft Azure AI 국제 자격을 보유한 이현 강사(활동명: 카빙쌤)가 나선다. 이 강사는 글로벌 AI 디지털 연구소를 운영하며 연성대학교, 서울 고척 도서관, 숭실중학교 등에서 다양한 AI 관련 강의를 진행한 바 있다. 이번 특강에서는 챗GPT, 구글 Whisk, 캡컷(CapCut) 등 최신 생성형 AI 도구들을 활용한 영상 자동화 기초와 콘텐츠 기획 방법을 소개하며, 누구나 복잡한 편집 과정 없이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워크플로를 중점적으로 다룰 예정이다. 또한 무료 플랫폼을 활용한 이미지 및 영상 생성 방법도 함께 설명한다. 특강 후반에는 실습 중심의 유료 교육 프로그램 ‘AI 비주얼 마스터 2기’에 대한 안내도 제공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