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상담학회가 오는 6월 26일부터 27일까지 ‘마음 건강과 국민행복, 상담의 미래를 그리다’를 주제로 2025 연차학술대회를 개최한다. 이번 학술대회는 온·오프라인 병행 방식으로 진행되며, 상담 분야 전문가와 학회원 2,500여 명이 사전 등록을 마치는 등 높은 관심 속에 열릴 예정이다. 기조강연에는 세계적인 상담학 권위자인 Gerald Corey 미국 캘리포니아주립대 명예교수가 ‘상담이론과 실제의 미래 트렌드’를 주제로, 김형태 전 한남대학교 총장이 ‘국민행복을 위한 상담의 역할’을 주제로 나서 상담의 현재와 미래를 아우르는 통찰을 전할 예정이다. 주제 발표 세션에서는 최훈석 성균관대 교수(한국심리학회장), 황매향 경인교육대 교수, 신성만 한동대 교수가 각각 강연을 맡아, 급변하는 사회 환경 속에서 상담자의 전문성과 역할 정립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한다. 이번 연차학술대회는 국내 상담 분야 최대 규모의 학술 행사로, △기획 심포지엄 4개 △기획 워크숍 11개 △분과 워크숍 20개 △학술 논문 발표 125편(우수논문 12편, 우수 박사학위논문 6편, 포스터논문 107편) 등이 진행된다. 특히 상담자들의 정서적 회복과 감동을 더하는 특별 프로그램도 마련됐다.
사주 상담을 잘하려면 단순히 사주 풀이만 능숙하게 하는 것으로는 부족하다. 상담자는 사주라는 도구를 통해 상대방의 삶을 이해하고, 그가 당면한 고민이나 상황에 대해 조언을 주는 역할을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상담자가 기본적인 이론에 대한 깊은 이해와 상담 기술, 윤리적인 태도를 함께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 먼저 사주의 기본기를 탄탄하게 다지는 것이 출발점이다. 사주팔자, 오행, 십성, 대운, 세운 등 명리학의 핵심 개념들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이는 단순한 암기가 아니라 실제 상황에 적용하고 응용할 수 있는 수준으로 익혀야 한다는 뜻이다. 여러 명리서적을 꾸준히 읽는 것도 도움이 된다. 고전적인 해석과 현대적인 해석을 모두 접하면서 다양한 관점을 체화하면 훨씬 유연하게 상담할 수 있다. 또한 실제 사례를 많이 접하고 분석하는 것도 필수적이다. 유명인들의 사주를 연구해보는 것도 좋은 연습이 된다. 기본기가 쌓였다면 상담 기술을 익히는 것이 다음 단계다. 사주 상담은 단순한 정보 전달이 아니라 상담자와 내담자 간의 깊은 소통이다. 그러므로 상담 초반에는 상대방의 상황과 정서를 충분히 경청하는 태도가 중요하다. 상대가 어떤 마음으로 상담을 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