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이 저신장증 성장호르몬 장기 치료에 대한 신뢰 확보에 나섰다. 회사는 최근 열린 제20회 LGS(LG Growth Study) 심포지엄에서 국내 저신장증 환아 대상 유트로핀 제품군의 장기 관찰 연구 중간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고 10일 밝혔다. LG화학은 국내 최초로 한국 소아 대상 성장호르몬 장기 투약 데이터를 확보하기 위해 2012년부터 LGS 연구를 진행 중이다. 이번 프로젝트는 2027년까지 저신장증 환아 1만 명을 모집해 유트로핀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2035년까지 추적 관찰하는 장기 연구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등록자 수는 7000명을 넘어섰다.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홍용희 교수가 유트로핀의 12년 차 안전성과 4년 차 유효성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에 따르면 유트로핀은 저신장 환아의 키 성장을 효과적으로 개선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장호르몬결핍증 및 부당경량아 환아의 경우 치료 시작 전 또래 대비 표준 편차가 -2.5였으나 치료 48개월 후에는 -0.9까지 개선됐다. 특발성저신장증 환아 역시 같은 기간 -2.5에서 -1.1로 유의미한 개선을 보였다. 표준 편차는 0에 가까울수록 또래 평균 신장에 근접함을 의미한다. 이어 아주대
LG화학이 성장호르몬 치료 후 키 성장 정도를 예측하는 인공지능(AI) 모델을 자체 개발하며, 저신장증 치료 환경 개선에 본격 나선다. LG화학은 최근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열린 유럽소아내분비학회와 유럽내분비학회 공동 총회에서 ‘AI 기반 성장 예측 모델 개발’을 주제로 연구 성과를 발표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아주대학교병원 심영석 교수와 LG화학 DX팀 정지연 책임연구원이 함께 참여해 공동으로 진행했다. 심영석 교수는 발표에서 “저신장증 환아의 성장호르몬제 치료 효과를 사전에 예측하려는 진료 현장의 요구가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며 “LG화학의 유트로핀 장기안전성 연구에서 축적된 대규모 데이터를 기반으로 AI 모델의 정밀도를 높였다”고 설명했다. LG화학은 기존 여러 딥러닝 모델을 결합한 앙상블 AI 구조를 활용해 예측 정확도를 향상시켰다. 총 3045명의 저신장증 환아 데이터를 학습용으로 사용했으며, 별도로 확보한 550명의 데이터를 통해 예측 성능을 검증했다. 분석 대상에는 성장호르몬 결핍증, 특발성 저신장증, 부당 경량아, 터너증후군(여아) 등이 포함됐다. 특히 AI 모델은 첫 진료 당시 측정한 신장, 체중, 처방 용량 등의 정보만으로도 1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