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NFT 마켓플레이스 OpenSea에 대한 조사를 마무리했다. OpenSea 공동 창립자 데빈 핀저는 이를 "NFT 생태계를 위한 중요한 승리"라고 평가하며 긍정적인 신호를 보냈다. 그동안 SEC의 규제가 NFT 시장을 위축시킬 것이란 우려가 많았던 만큼, 이번 결정은 업계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 가능성이 크다. 하지만 규제 리스크가 완전히 해소된 것은 아니다. SEC는 여전히 특정 NFT 프로젝트를 증권으로 간주하고 있으며, 향후 유사한 조사가 다시 진행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한때 웹3 스트리트웨어 시장을 선도했던 Rtfkt가 문을 닫는다. 2021년 나이키에 인수되며 NFT 기반 디지털 패션 시장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었던 Rtfkt는 최근 Clone X 등의 주요 NFT 가치가 급락하면서 지속 불가능한 상황에 이르렀다. NFT와 패션을 결합한 실험이 결국 한계를 맞았다는 분석이 나온다. Rtfkt의 몰락은 단순한 실패가 아니라, NFT 기반 패션과 아트의 지속 가능성을 다시 고민해야 하는 신호탄일 수도 있다. 디지털 자산이 더 이상 단순한 투자 수단이 아닌 실질적인 효용을 가질 수 있을지, NFT 시장이 풀어야 할 숙
NFT(대체 불가능한 토큰) 시장이 본격적으로 형성되기 시작한 2017년, 두 개의 대표적인 프로젝트가 등장했다. 바로 크립토키티(CryptoKitties)와 크립토펑크(CryptoPunks)다. 두 프로젝트 모두 이더리움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지만, 목적과 구조, 기능 면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 ■ 게임형 NFT ‘크립토키티’, 예술적 가치의 ‘크립토펑크’ 크립토키티는 디지털 고양이를 수집하고 번식시키는 블록체인 기반 게임으로, 2017년 대퍼랩스(Dapper Labs)에서 개발했다. 사용자는 가상의 고양이를 사고팔거나 교배를 통해 새로운 고양이를 생성할 수 있으며, 각 고양이는 고유한 유전적 속성을 갖는다. 이처럼 크립토키티는 게임적인 요소와 대중성을 강조한 NFT 프로젝트로, 당시 큰 인기를 끌었다. 반면, 같은 해 출시된 크립토펑크는 NFT 아트 시장의 상징적인 프로젝트로 자리 잡았다. 라바랩스(Larva Labs)가 개발한 크립토펑크는 총 10,000개의 픽셀 아트 캐릭터로 구성되며, 각각 고유한 외모와 속성을 지닌다. 수집품으로서의 희소성과 예술적 가치를 내세운 크립토펑크는 초기에 무료로 배포되었으나, 이후 NFT 시장이 성장하면서 희귀성과 역사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