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X 전문기업 LG CNS가 자율이동로봇(AMR, Autonomous Mobile Robot)을 활용한 물류 산업 디지털 혁신에 본격 착수한다.
LG CNS는 17일 자율주행로봇 기반 모빌리티 플랫폼 기업 **베어로보틱스(Bear Robotics)**와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협약식에는 LG CNS 스마트물류&시티사업부장 이준호 상무와 베어로보틱스 하정우 대표 등이 참석했다.
미국 실리콘밸리에 본사를 둔 베어로보틱스는 전 세계 20여 개국에 약 2만 대의 AI 기반 서비스 로봇을 공급하고 있으며, 특히 로봇 트래픽 제어와 군집 제어 기술에서 높은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다. 이 기술은 한 공간에서 최대 1000대의 로봇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한다.
양사는 이번 협력을 통해 물류 지능화 및 자동화를 실현할 수 있는 자율이동로봇 솔루션을 공동 개발한다. 주요 프로젝트는 △중공업 물품 운반용 대형 자율이동로봇 △물류센터 내부 자동화 설비 간 물건을 지속적으로 운반하는 소형 자율이동로봇 개발 등이다.
이를 통해 물류센터의 구조와 물동량에 맞는 다양한 자율이동로봇과 관제 솔루션을 제공하며, 무중단·원격 운영을 통해 물류비용 절감과 시간 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계획이다.
양사는 무거운 물품을 빈번히 이동해야 하는 물류센터에서 △물품 무게와 부피 △이동 경로 등을 고려한 최적화된 자율이동로봇과 로봇 수량을 제안한다. 또한, △원격 조종 △경로 설정 △트래픽 관리 △성능 모니터링 등을 포함한 관제 시스템도 함께 제공해 물류 효율성을 극대화한다.
LG CNS는 기존에 무인운송로봇(AGV), AI 기반 피킹로봇, AI 비전 카메라 등 다양한 스마트물류 솔루션을 통해 관련 노하우를 축적해왔다. 이와 함께 전통적인 물류 설비와 다양한 로봇을 통합 운영할 수 있는 스마트물류 플랫폼도 구축했다.
또한 △자율이동로봇 경로 최적화를 위한 수학적 최적화 기술 △물류 설비를 3D로 구현해 원격 점검이 가능한 디지털 트윈 기술 등 물류 자동화 혁신을 위한 첨단 기술을 자체 개발해왔다.
LG CNS 스마트물류&시티사업부장 이준호 상무는 “로봇 솔루션의 현장 적용 경험과 노하우는 물류 산업의 경쟁력과 비용 효율성 확보에 필수적”이라며, “베어로보틱스의 첨단 자율이동로봇 기술과 LG CNS의 스마트물류 노하우를 결합해 물류 산업의 디지털 혁신을 주도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