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문화재단 산하 서울연극센터가 아시아 미발표 희곡을 낭독 형식으로 선보이는 ‘아시아 플레이’를 오는 4월 3일부터 24일까지 매주 목요일 저녁 6시 30분, 서울연극센터 1층 라운지에서 다시 무대에 올린다. 모든 공연은 무료로 관람할 수 있으며, 네이버 예약 또는 현장 방문을 통해 참여 가능하다.

‘아시아 플레이’는 지난해 6월 첫선을 보인 프로젝트로, 아시아 4개국 희곡을 국내 청년예술가들이 직접 낭독 공연으로 풀어내며 전석 매진과 관객 호응을 이끌어낸 바 있다. 이번 시즌은 이러한 반응에 힘입어 두 번째 무대로 이어졌으며, 올해는 더욱 확장된 국가와 깊이 있는 주제로 돌아왔다.
이 프로젝트는 ‘첫 배우’라는 이름 아래 연극 장르 진입 단계에 있는 청년예술가들에게 국내에 소개되지 않은 아시아 희곡, 즉 ‘첫 희곡’을 무대에 올릴 기회를 제공한다. 연출에는 오세혁, 김정, 강훈구 등 대학로에서 활발히 활동 중인 중견 연출가들이 함께해 청년 예술가들의 성장을 돕는다.
올해 ‘아시아 플레이’는 총 8편의 아시아 희곡을 매주 2편씩 선보인다. 참여 국가는 대만, 팔레스타인, 태국, 싱가포르, 일본, 캄보디아 등으로, 특히 식민과 독재, 검열, 폭력 등 억압된 역사 속에서 청년이 겪는 삶의 단면을 공통의 경험으로 풀어낸다.
첫 무대인 4월 3일에는 프랭키 청 작, 김정 연출의 대만 희곡 ‘소인’과, 팔레스타인 작가 달리아 타하가 쓰고 강훈구가 연출한 ‘케피예 메이드 인 차이나’가 낭독된다. 이어 10일에는 태국 현대사의 비극을 고발하는 ‘아무 데도 없는 곳’, 싱가포르의 검열 현실을 다룬 ‘극장의 죽음’이 무대에 오른다.
17일에는 일본 재일동포 청년의 이야기를 담은 ‘조애아의 하늘’과 캄보디아 거리에서 벌어지는 여정을 그린 ‘존엄의 천 번의 죽음’이 이어지고, 24일에는 대만 청춘의 고뇌를 그린 ‘여자 기숙사 1990’과 현대사회의 고립을 다룬 ‘고독의 조각들’이 이번 시리즈의 마지막을 장식한다.
특히 올해는 처음 한국 관객과 만나는 아시아 5개국의 극작가들이 화상 플랫폼을 통해 직접 참여하는 ‘작가와의 대화’ 프로그램도 운영된다. 관객은 공연 후 작가들과 직접 소통하며 작품의 배경과 맥락을 보다 깊이 이해할 수 있다.
서울연극센터는 청년예술가 프로젝트인 ‘아시아 플레이’에 이어 오는 11월에는 중장년 예술인을 위한 프로젝트 ‘가을’을 선보일 계획이다. 연령과 국경을 넘어선 연결을 통해 한국 연극의 다양성과 확장성을 꾀하는 이번 기획이 어떤 울림을 남길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