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유례없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경북 산불 대응을 위해 총력전에 돌입했다. 3월 26일 오전 9시, 정부는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 주재로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울산, 경북, 경남 산불대응을 위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5차 회의를 열고 피해 현황과 향후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회의에는 행정안전부, 산림청, 소방청, 경찰청, 기상청 등 관계 부처를 비롯해 한국전력, 한국도로공사, 17개 시·도 관계자들이 참여해 범정부 차원의 대응체계를 점검했다.
정부는 특히 경북 의성에서 시작된 산불이 강한 서풍을 타고 안동, 청송, 영양, 영덕 등으로 확산되면서, 이 지역 주민 대피 현황과 진화작업의 총괄 상황을 중점적으로 공유했다.
경북 산불은 지난 22일 의성에서 시작돼 강풍을 타고 동쪽으로 급속히 번졌으며, 3월 26일 오전 7시 기준으로 14명의 사망자와 약 1만5천 헥타르의 산림 피해가 보고됐다. 현재까지 주택과 각종 시설물 145동이 화재 피해를 입은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사망자는 안동 2명, 청송 3명, 영양 4명, 영덕 5명으로 확인됐으며, 피해 지역 주민 약 2만3천 명이 체육관 등 관내 임시주거시설로 긴급 대피한 상황이다.
정부는 산불 확산 저지를 위해 가능한 모든 진화 자원을 투입 중이다. 산림청은 고성능 산불진화차량 20대를 투입해 지연제 45톤을 민가, 병원 등 인명피해 우려 지역에 살포하고 있으며, 지난 22일 산불경보 ‘심각’ 단계를 발령한 데 이어 25일에는 그 범위를 전국으로 확대했다.
소방청은 국가소방동원령을 추가 발동해 진화 인력을 증원했고, 경찰청은 갑호 비상을 선포하고 기동대 추가 투입으로 지원을 강화했다. 국방부 역시 진화 헬기의 항공유를 200회 이상 공급하며 지원에 나서고 있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은 이날 회의에서 “유례없이 빠른 속도로 번지고 있는 이번 산불은 국가적으로 매우 엄중한 재난 상황”이라며 “정부는 산불 진화와 함께 추가 인명피해 방지를 위해 모든 기관이 전력을 다해야 한다”고 지시했다.
정부는 기상 상황이 여전히 불리한 가운데 산불 확산을 차단하고 조기 진화를 위한 다각적인 노력을 이어갈 계획이다.
[출처=관계부처합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