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직업능력연구원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11월 25일 오후 2시 세종국책연구단지에서 불확실성의 시대, 청년의 길을 묻다를 주제로 공동정책포럼을 연다. 급변하는 사회·경제 환경 속에서 청년 세대의 진로, 노동시장 이행, 복지 정책 방향을 논의하는 자리다.
포럼의 기조 강연은 서용석 KAIST 문술미래전략대학원 교수가 맡는다. 서 교수는 대전환 시대의 초불확실성과 새로운 사회계약을 주제로 직업 세계의 변화를 전망하고, 불확실성을 기회로 전환하는 핵심 역량인 에질리언스 개념을 설명할 예정이다.
이어지는 발표에서는 교육, 노동시장, 복지 등 청년 정책의 핵심 분야가 다뤄진다. 김기헌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청년정책연구본부장은 교육 기대와 청년의 성인기 이행을 주제로 발표하며, 아동·청소년 패널 코호트 데이터를 통해 학교 단계별 이행 실태를 분석한다. 문상균 한국직업능력연구원 연구위원은 코로나19와 금융위기 등 경제 위기 시기에 졸업한 청년들의 노동시장 진입과 극복 방안을 노동패널 조사 결과로 설명한다. 김성아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은 청년의 위기와 청년복지 제도화를 주제로 위기 청년 지원 체계 강화를 위한 정책 과제를 제시한다.
토론은 류장수 국립부경대학교 교수가 좌장을 맡고 정부와 연구기관 전문가들이 참여한다. 국무조정실, 교육부, 고용노동부, 보건사회연구원, 산업연구원, 노동연구원 관계자들이 각 분야의 정책 현실과 과제를 논의할 예정이다.
한국직업능력연구원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은 이번 포럼이 대전환 시대에 필요한 청년 인재 정책 방향을 고민하고, 급변하는 환경에 맞춘 실효성 있는 청년 정책 마련에 기여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하고 있다.
청년 정책의 미래 방향에 대한 논의가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