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관, 북방을 개척하다 고려의 북쪽은 늘 불안했다. 국경 너머에는 여진족이 있었다. 그들은 말을 타고 빠르게 움직였고, 때때로 고려의 땅을 침범했다. 고려의 백성들은 불안 속에서 살아야 했다. 윤관은 그것을 보고만 있을 수 없었다. 그는 고려의 장군이었다. 단순히 나라를 지키는 것이 아니라, 나라를 앞으로 나아가게 하는 것이 그의 역할이었다. 그는 결심했다. 고려는 더 이상 방어만 해서는 안 된다고. 적을 밀어내고, 새로운 땅을 개척해야 한다고. 별무반, 새로운 군대를 조직하다 고려의 기존 군대는 강했지만, 여진족을 상대하기엔 부족한 점이 많았다. 고려의 보병들은 강했지만, 여진족의 기동력에는 미치지 못했다. 그들은 기마 전술에 능했고, 빠르게 움직이며 고려군을 괴롭혔다. 윤관은 새로운 군대가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단순한 보병 중심의 전력이 아니라, 기병을 활용한 전략적 부대가 필요했다. 그는 고려 역사상 최초로 기병 중심의 군대인 **별무반(別武班)**을 창설했다. 별무반은 크게 세 부대로 나뉘었다. 신기군(神騎軍) – 고려의 정예 기병부대. 여진족의 기마 전술에 대응하기 위해 창설되었다. 신보군(神步軍) – 강력한 보병부대. 기병을 보조하며 전투의 중심을
고려 예종, 배움과 강함으로 나라를 다스리다 고려는 변하고 있었다. 왕이 바뀌었고, 시대가 흐르고 있었다. 그러나 나라가 안정되려면 힘이 필요했다. 그리고 힘만으로는 부족했다. 배움이 있어야 했다. 지식이 있어야 나라가 오래갔다. 예종은 그것을 알았다. 그는 고려의 16대 왕이었다. 그의 아버지 숙종은 화폐를 만들었고, 군대를 정비했다. 이제 예종이 고려를 다듬을 차례였다. 그는 단순한 왕이 아니었다. 그는 배우는 왕이었다. 그는 강한 나라를 원했다. 그러나 그 강함은 무력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었다. 그는 고려를 바꾸려 했다. 그리고 그는 해냈다. 국자감 정비, 배움을 나라의 힘으로 삼다 예종은 배움이 중요하다고 믿었다. 고려는 오랫동안 불교를 중심으로 돌아갔다. 그러나 나라를 운영하려면 유학이 필요했다. 신하들이 학문을 배우고, 백성들이 지식을 쌓아야 했다. 그래야 고려가 발전할 수 있었다. 그는 국자감(國子監)을 강화했다. 국자감은 고려의 최고 교육 기관이었다. 그러나 예종은 그것이 충분하지 않다고 생각했다. 그는 학문을 체계적으로 가르치기 위해 7재(七齋)라는 전문 교육 과정을 만들었다. 7재는 단순한 학교가 아니었다. 그것은 국가의 미래를 위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