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부는 최근 이스라엘과 이란 간 무력 충돌로 인해 호르무즈 해협 등 중동 해역에서 GPS 교란 등 보안 위협이 증가함에 따라 우리 선박의 안전 확보를 위한 관계기관 협력을 한층 강화한다고 19일 밝혔다. 해양수산부는 이미 2023년 11월부터 외교부, 국방부 등과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중동 해역을 운항 중인 우리 선박에 대해 정보 공유 및 공동 대응체계를 운영해왔다. 그러나 최근 중동 지역의 정세가 급격히 악화됨에 따라, 6월 19일부터는 관계기관이 매일 참여하는 상황점검회의를 개최해 우리 선박의 안전 상황을 실시간으로 점검하고, 변화하는 국제 정세에 보다 신속히 대응하기로 했다. 아울러 6월 25일에는 해양수산부 장관 주재로 호르무즈 해협 내 드론 공격 상황을 가정한 민간선박 대응 모의훈련을 실시할 계획이다. 이 훈련을 통해 관계기관 간의 신속한 상황 전파와 대응 체계를 점검하고, 실제 상황 발생 시 대응력을 높일 방침이다. 강도형 해양수산부 장관은 “우리나라 해상 공급망의 중추적 역할을 맡고 있는 선원과 선박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해, 관계기관과의 긴밀한 공조 체계를 유지하겠다”고 강조했다. [출처=해양수산부]
외교부는 이스라엘과 이란 간 무력 충돌이 지속됨에 따라 6월 17일 오후 8시(한국 시각)부터 이스라엘 내 특별여행주의보 지역에 대해 여행경보 3단계(출국권고)를 발령한다고 밝혔다. 이번 조치는 기존의 일부 지역에만 적용되던 3단계 및 4단계 경보를 이스라엘 전역으로 확대하는 것으로, 특히 여타 지역에 대해서도 출국을 권고하는 강력한 조치다. 이미 발령 중인 4단계(여행금지) 지역인 이스라엘 북부 레바논 접경지역(국경으로부터 4km 이내)과 가자지구에 대해서는 기존 조치가 그대로 유지된다. 외교부는 “이스라엘에 체류 중인 우리 국민들께서는 신변 안전에 각별히 유의하고, 공관의 안내에 따라 가급적 신속히 출국해주시길 바란다”며 “해당 지역으로의 여행을 계획 중인 국민들께서는 여행을 취소하거나 연기해주시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외교부는 앞으로도 중동 지역의 정세를 면밀히 주시하며, 국민 안전 확보를 위한 조치를 지속적으로 강구할 방침이다. [출처=외교부]
정부가 중동 정세 악화에 따른 금융 및 실물경제 충격에 대응하기 위해 관계기관 합동 비상대응 체제를 가동한다. 기획재정부는 6월 16일 오전 8시, 외교부, 산업통상자원부, 해양수산부, 금융위원회, 한국은행, 금융감독원, 국제금융센터 등 유관기관과 함께 비상대응반 회의를 컨퍼런스콜 형식으로 열고, 중동 사태의 영향과 시장 동향, 국내 경제에 미치는 파장을 면밀히 점검했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는 지난 13일 이스라엘의 이란 공습 이후 글로벌 금융 시장의 변동성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주요국 증시가 하락하고 국제 유가가 상승하는 등 불확실성이 확대됨에 따른 선제적 대응 차원에서 마련됐다. 참석자들은 이란과 이스라엘 간 무력충돌이 주말에도 계속된 만큼, 향후 전개 양상에 대한 불확실성이 크다고 진단했다. 이에 따라 관계기관은 24시간 모니터링 체계를 유지하며, 금융시장 및 실물경제에서 특이 동향이 포착될 경우 긴밀한 협조 하에 신속하고 과감하게 대응해 나가기로 했다. 정부는 시장이 한국 경제의 펀더멘털과 괴리된 방향으로 과도하게 움직일 경우, 사전에 마련된 상황별 대응계획(Contingency Plan)에 따라 즉각적이고 단호한 조치를 취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외교부가 중동 지역 정세 변화에 대응해 재외국민 보호 강화에 나섰다. 외교부는 6월 13일 김진아 외교부 제2차관 주재로 이스라엘의 이란 공습 이후 중동 정세 평가 및 재외국민 보호 대책을 점검하기 위한 본부·공관 합동 상황점검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에는 영사안전국장, 아중동국장 등 외교부 관계자와 주이스라엘대사, 주이란대사, 주이라크대사, 주팔레스타인사무소장 등이 참석해 중동 지역의 최근 상황과 향후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김 차관은 "중동 정세의 급변 가능성을 예의주시하면서 본부와 공관 간 상시 연락체계를 유지하고 재외국민의 안전 확보에 만전을 기할 것"을 당부했다. 외교부는 앞으로도 중동 지역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며, 재외국민 보호를 위한 필요한 조치를 지속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출처=외교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