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27 (토)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구름많음고산 25.2℃
  • 흐림성산 25.1℃
  • 구름많음서귀포 29.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NFT

NFT, 디지털 소유권의 약속과 환상 사이

지난 몇 년간 NFT(대체 불가능 토큰, Non-Fungible Token)는 전 세계 금융·문화계를 뜨겁게 달군 키워드였다. ‘디지털 파일에 고유한 소유권을 부여한다’는 아이디어는 블록체인 기술의 새로운 확장으로 받아들여졌다. 그림, 음악, 게임 아이템, 심지어 한 장의 트윗까지 NFT화되며 상상할 수 있는 거의 모든 디지털 콘텐츠가 거래 대상이 되었다. 그러나 현재 NFT 시장은 초기의 열광과 달리 냉각기를 지나고 있다. NFT가 진정한 자산인가, 아니면 일시적 거품에 불과한가라는 질문이 남는다.

 

 

NFT의 핵심 가치는 ‘희소성의 부여’다. 전통적으로 디지털 파일은 무한 복제가 가능해 소유권을 주장하기 어려웠다. 그러나 블록체인 위에 발행된 NFT는 하나의 토큰과 특정 파일을 연결해 원본의 개념을 만들어냈다. 이로써 디지털 세상에도 ‘진품’의 개념이 탄생한 셈이다. 이는 예술 시장에 큰 파장을 불러왔다. 2021년 크리스티 경매에서 디지털 아티스트 비플의 작품이 6930만 달러에 낙찰되며 NFT가 세계 미술계의 새로운 투자 수단으로 주목받은 것이 대표적 사례다.

 

NFT는 단순히 예술품을 넘어 투자 자산으로 각광받았다. 희소성과 블록체인 기반의 투명성이 투자자들을 끌어들였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투기적 열풍이 불어 닥쳤다. 고양이 캐릭터, 픽셀 아바타 등 단순 이미지가 수십억 원에 거래되는 현상은 시장의 합리성을 의심케 했다. 특히 다수의 프로젝트가 단기간에 폭등 후 폭락을 겪으며 투자자 피해가 속출했다. 결국 NFT의 가치가 ‘실질적 효용’이 아닌 ‘다른 사람이 더 비싸게 사줄 것이라는 기대’에 의존했다는 점에서 한계를 드러냈다.

 

그렇다고 NFT를 단순 거품으로 치부하기엔 이르다. NFT의 본질은 ‘디지털 자산의 소유권 인증’이다. 이 개념은 예술을 넘어 게임 산업, 메타버스, 엔터테인먼트, 부동산 가상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가능성이 크다. 예를 들어 게임 아이템을 NFT로 발행하면 유저는 해당 아이템을 다른 플랫폼에서도 자유롭게 거래할 수 있다. 가상 부동산 플랫폼에서는 토지 NFT가 실제 경제적 가치를 갖고 거래되기도 한다. 또한 음악가와 크리에이터는 NFT를 통해 중간 유통자를 거치지 않고 팬과 직접 연결되는 새로운 수익 모델을 만들 수 있다.

 

NFT 시장이 지속 가능하려면 규제와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 현재 NFT 거래의 상당수는 실질적 소유권 이전과 무관하며, 법적 보호 장치도 미비하다. 저작권이 NFT와 혼동되면서 창작자와 소비자 간 분쟁이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NFT를 ‘디지털 소유권’으로 인정할 수 있는 법적 기준, 과세 체계, 소비자 보호 장치가 마련돼야 한다. 이는 단순히 NFT 시장만을 위한 규제가 아니라, 블록체인 기반 자산 전체의 신뢰성을 높이는 과정이기도 하다.

 

국내에서도 대기업과 스타트업이 NFT 프로젝트에 적극적으로 뛰어들었으나, 글로벌 열풍이 식은 뒤 다수 사업이 정체되거나 종료됐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K-콘텐츠와 NFT의 결합 가능성은 여전히 주목받는다. 한류 IP를 기반으로 한 디지털 굿즈, 팬덤 경제, 공연 티켓 NFT 등은 여전히 수요가 존재한다. 문제는 ‘실질적 가치’를 어떻게 담보하느냐이다. 단순한 이미지 소유권이 아니라, NFT를 보유했을 때 공연 참여, 한정판 굿즈, 멤버십 혜택 등 실질적 경험을 제공하는 모델로 발전해야 지속성을 확보할 수 있다.

 

NFT는 아직 ‘약속과 환상’ 사이에 서 있다. 디지털 자산 소유권이라는 혁신적 개념은 분명 매력적이지만, 시장 참여자들의 기대가 과열되면서 신뢰를 잃은 측면이 있다. 향후 NFT가 진정한 자산군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실질적 가치 창출’과 ‘제도적 기반’이 필수적이다. 블록체인 기술의 진화와 함께 NFT는 새로운 형태의 경제와 문화 생태계를 만들어낼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다만, 투자자와 소비자 모두 단기적 환상에 흔들리지 않고 본질적 가치를 주목할 때, NFT는 단순한 유행을 넘어 지속 가능한 혁신으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