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오션, 한화시스템,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등 한화 방산 3사가 5월 28일부터 31일까지 부산 벡스코에서 열리는 국제해양방위산업전(MADEX 2025)에 참가해 전시장 내 최대 규모인 468㎡ 통합 전시관을 운영하며 미래 해양 방산 전략을 공개했다. 이번 전시에서 한화는 미래형 및 수출형 함정부터 무인체계, 리튬이온 배터리까지 아우르는 ‘해양 통합 솔루션’ 풀 라인업을 선보였다. 특히 한화시스템은 해상전 인명 손실을 줄이고 병력 효율성을 극대화할 핵심 전력으로 전투용 무인수상정을 처음으로 공개해 관람객과 관계자들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전투용 무인수상정은 길이 3.5미터의 목업으로 전시됐으며, 자폭용 군집 드론 및 각종 무장을 탑재해 전방위 임무 수행이 가능하도록 설계됐다. 이 무인체계는 △군집운용 △파랑회피 자율운항 △저궤도 위성통신 기반 유무인 복합체계 통합운용 기술 등 국내 유일의 첨단 기술이 접목돼 있으며, 실전 환경에서의 반복 시연을 통해 검증된 운용성을 갖췄다. 한화시스템은 전투용 무인수상정에 자사 전투체계를 직접 탑재할 예정이며, 이는 함정 내 센서와 무장을 통합적으로 지휘하는 핵심 역할을 맡게 된다. 여기에 한화오션의 특수선 건조 기술, 한화에어
대한항공이 국내 최대 해양 방위산업 전시회 ‘국제해양방위산업전(MADEX) 2025’에 처음으로 참가해 해양 무인기 기술력과 군용기 정비(MRO) 역량을 대외적으로 알린다. 이번 전시는 28일부터 4일간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다. MADEX는 2년 주기로 개최되는 국내 대표 해양 방위산업 전시회로, 올해로 14회째를 맞았다. 대한항공의 MADEX 참가 역시 이번이 처음이다. 대한항공은 이번 전시에서 무인기 종합 기업으로서의 기술력을 강조한다. 전시 부스에는 자체 기술이 적용된 저피탐 무인 편대기, AI 기반 소형 협동 전투 무인기, 중고도 무인기(MALE), UH-60 헬기 목업(mock-up) 등이 전시된다. 특히 저피탐 무인 편대기는 유인 전투기와 협업하는 플랫폼으로, 일부 성능 개량을 통해 해군용 무인 항공모함에서도 운용이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대한항공은 해군 작전에 최적화된 무인기 솔루션도 함께 제안할 계획이다. 또한 군용기 정비 부문에서도 오랜 역량을 강조한다. 대한항공은 1978년부터 군용기 정비사업에 참여해왔으며, 1997년부터는 해군의 LYNX, P-3C, F-406 항공기 창정비를 수행하며 전문성을 쌓았다. 최근에는 UH-60 성능개량 사업도
LIG넥스원(대표이사 신익현)이 5월 28일부터 부산 벡스코에서 열리는 국제해양방위산업전(MADEX 2025)에 참가해, 첨단 해양 무기체계와 미래 해양 전력의 방향성을 제시했다. LIG넥스원은 단일 업체 기준 최대 규모인 280㎡ 규모의 전시관을 꾸리고, HD현대중공업과 함께 차세대 스텔스 함정을 형상화한 공동 부스를 운영했다. 이번 전시에서는 대한민국 해군이 추진 중인 유무인 복합체계 ‘Navy Sea GHOST’를 실현하기 위한 핵심 기술과 무기체계를 대거 공개하며 관람객들의 주목을 받았다. 특히 미래형 무인수상정의 대표 모델로 ‘해검-X’를 첫 공개했다. 스텔스 설계를 기반으로 다기능레이더(MFR), 20㎜ 원격 무장 체계(RCWS), 유도 로켓 ‘비궁’, 경어뢰 ‘청상어’, 공격 드론 등을 탑재해 전방위 작전이 가능한 통합 무인 전투 플랫폼으로 구성됐다. 위성, 드론 등과 연동한 통제체계를 활용해 대함전, 대잠전, 대드론전에 모두 대응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LIG넥스원은 3D프린팅 기술로 제작한 자폭형 무인수상정도 함께 선보이며, 빠른 제작과 비용 효율성이라는 새로운 무기 생산의 가능성을 제시했다. 이는 향후 대량 생산 체계로 전환될 경우 해군 무
HD현대중공업이 부산 벡스코에서 열리는 국제해양방위산업전(MADEX 2025)에 참가해 K-해양방산의 미래를 그리는 청사진을 공개한다. 오는 5월 28일부터 나흘간 진행되는 이번 전시회에서 HD현대중공업은 218㎡ 규모의 전시관을 마련하고, 차세대 수출 함정과 무인 전력 중심의 첨단 해양 전투 플랫폼을 다채롭게 선보인다. MADEX는 해군 주최의 국내 최대 해양 방위 산업 전문 전시회로, 올해는 12개국 150여 개 기업과 30여 개국 해군 대표단, 1만 5천여 명의 바이어가 참석할 예정이다. HD현대중공업은 LIG넥스원과 공동 부스를 통해 차세대 스텔스 함정을 형상화한 전시관을 운영하며, 국내 함정, 수출 함정, 미래 함정 등 3가지 테마로 공간을 구성했다. 국내 섹션에서는 정조대왕급 이지스 구축함을 기반으로 한 KDDX와 울산급 배치-Ⅲ 충남함, 원해경비함 등을 통해 대한민국 해군의 전력을 조명한다. 수출 함정 부문에서는 필리핀, 페루 수출 모델과 함께 6500톤급 고기능·고사양 대양 작전용 수출형 호위함이 최초 공개된다. 특히 사우디아라비아를 비롯한 중동 및 아시아 시장을 겨냥한 맞춤형 수출 모델로 기대를 모은다. 미래 함정 부문에서는 유·무인 복합 전
현대로템이 국내 최대 해양 방위산업 전문 전시회에 처음으로 참가해 상륙작전에 특화된 유무인 복합체계 기술력을 선보인다. 현대로템은 오는 28일부터 31일까지 부산 벡스코에서 열리는 ‘2025 국제해양방위산업전(MADEX 2025)’에 참가한다고 21일 밝혔다. MADEX는 격년으로 개최되는 국내 최대 규모의 해양 방산 전시회로, 올해는 국내외 150여 개 업체가 참가해 첨단 방위산업 기술을 선보일 예정이다. 현대로템은 이번 전시회를 통해 수상과 육상을 아우르는 상륙작전 환경에 대응 가능한 유무인 복합체계 기술을 집중 소개한다. 대표 전시 제품은 다목적 무인차량 ‘HR-셰르파(HR-SHERPA)’로, 자사 전동화 무인 플랫폼 기술을 바탕으로 다양한 임무에 맞게 장비를 교체해 운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HR-셰르파는 2018년 최초 공개 이후 지속적인 성능 개량을 거쳐 지난해 최신형 4세대 모델로 발전했다. 특히 2020년 국방부의 다목적 무인차량 신속시범획득 사업을 단독 수주한 이후 GOP, DMZ 등 군 야전에서 성공적인 시범 운용을 마쳤으며, 우리 군의 피드백을 반영한 실전형 무인차량으로 납품된 바 있다. 현대로템은 이번 MADEX에서 HR-셰르파 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