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천구가 도심 공원에 로봇 기술을 접목한 ‘스마트 로봇존’을 본격 조성하며 생활 밀착형 스마트도시 구현에 속도를 내고 있다. 구는 양천·파리·오목공원 등 3개소에 AI 기반 재활용품 수거·순찰 로봇을 운영 중이며, 여기에 더해 오는 7월부터는 ‘배달 로봇’ 서비스를 도입한다고 27일 밝혔다.
‘스마트 로봇존’은 로봇과 인공지능(AI), 자율주행 등 첨단 ICT 기술을 활용해 도시 환경을 개선하고 구민의 생활 편의를 증진하기 위해 조성된 특화 구역이다. 양천구는 지난해부터 ‘테스트베드 서울 실증사업’을 통해 재활용품 수거·순찰 로봇을 시범 운영해왔으며, 올해는 서울경제진흥원이 주관하는 ‘로봇 기술사업화 지원사업’에 선정되며 배달 로봇 서비스를 추가 도입하게 됐다.
새롭게 도입되는 배달 로봇 서비스는 양천·오목·파리공원 인근 상권과 연계해 운영된다. 구체적인 운영 방식은 고객이 앱을 통해 음식이나 음료를 주문하면 가맹점에서 조리 후 로봇을 호출하고, 로봇이 직접 음식을 픽업해 고객에게 배달하는 구조다. 무인 자율주행 로봇을 활용해 안전하면서도 효율적인 도심형 배달 서비스 모델을 실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배달 로봇 도입에 앞서 구는 구민의 관심과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배달 로봇 작명 공모전’을 4월 2일까지 진행한다. 참여는 양천구청 홈페이지 배너 또는 구청 로비에 전시된 로봇의 QR코드를 통해 가능하며, 최종 선정된 이름은 실제 로봇 명칭으로 사용될 예정이다. 수상자에게는 최대 10만 원 상당의 서울사랑상품권이 지급된다.
한편 지난해 시범 도입돼 주목을 받은 재활용품 수거·순찰 로봇 ‘개미’는 이달부터 다시 운영을 시작했다. 이 로봇은 공원 내 배치된 QR코드를 통해 호출되면 이용자의 위치로 이동해 재활용품을 수거하며, 야간에는 순찰 경로를 따라 이동하며 실시간 환경 모니터링도 수행한다. 긴급 상황을 인지하고 즉시 대응할 수 있어 공원 안전 관리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양천구는 이번 로봇 서비스 확대를 통해 주민들이 실생활에서 로봇 기술을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하고, 스마트 기술이 구민 삶에 실질적인 가치를 더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이기재 양천구청장은 “스마트 실증사업을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구민 만족도가 높은 서비스는 적극 확대해 나가겠다”며 “로봇 기술을 통해 더 안전하고 편리한 양천형 스마트도시를 만들어 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