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대학이 11월 24일부터 25일까지 국내 최초로 ‘대테러 정책 과정 교육’을 시범 운영했다. 이번 교육은 국가 차원의 테러 대응 역량을 강화하고 관계기관 협업 체계를 공고히 하기 위해 새롭게 마련된 과정이다.
세계 각국에서 2015년 프랑스 파리 테러 이후 테러 양상이 빠르게 변화하면서, 우리 정부도 2016년 제정된 테러방지법을 기반으로 국가안전관리기본계획을 수립해 통합 대응체계를 강화해 왔다. 국내에서 일반 테러 대응을 담당하는 주무 기관인 경찰은 공항·지하철·국가중요시설 등 공공과 민간이 혼재된 현장에서 실질적 지휘부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는 점에서 전문교육의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이번 시범 교육에는 경찰청과 국무조정실 대테러센터 등 관계기관 실무자 17명이 참여했다. 교육 과정은 국가 대테러 정책과 법률 체계 이해, 국내외 테러 정세 분석, 테러 발생 시 초동조치와 기관 간 협업 체계 구축 등 실무 중심 내용으로 구성됐다.
경찰대학은 이번 시범 운영을 통해 수렴한 의견을 반영해 교육 과정을 보완한 뒤, 2026년부터 ‘대테러 정책 과정’을 정규 과정으로 정례화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범정부적 대테러 역량을 체계적으로 강화한다는 목표다.
김성희 경찰대학장은 “테러는 단일 기관이 대응하기 어려운 복합적 위협”이라며 “이번 교육은 관계기관 간 공조와 정보 공유를 강화하는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향후 정규 과정 도입이 국가 대테러 대응 수준을 높이는 데 어떤 성과를 가져올지 주목된다.
[출처=경찰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