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세헌 기자 | 신한카드(사장 문동권)는 글로벌 페이먼트 사업자인 라인페이와 제휴해 대만 내 50만개 이상의 라인페이 가맹점에서 신한카드 앱만으로 결제가 가능한 QR결제 서비스를 개시했다고 밝혔다. 신한카드 고객은 대만 내 50만개 이상의 라인페이 가맹점에서 신한카드 앱으로 라인페이의 QR을 이용해 신용카드 및 체크카드 결제가 가능하다. 특히 '라인페이 대만'은 대만 국민의 절반이 사용하는 대만 1위 간편결제 서비스로, 신용카드 가맹점이 아닌 노점이나 해외 카드를 이용할 수 없는 편의점 등 카드 결제가 어려운 가게라도 라인페이 결제는 가능한 경우가 많다. 신한카드 앱에서는 Mastercard, VISA, UPI 카드의 해외 NFC 결제서비스뿐만 아니라 삼성페이를 통한 NFC 결제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 이번 서비스가 대만 여행객의 현금 거래 불편함을 해소시켜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번 서비스와 함께 신한카드 앱에 라인페이 가맹점 '맵(MAP)'을 연결해 '한국인 인기 맛집', '타이페이 핫플레이스' 등 라인페이 매장을 간편하게
정부가 7일 갑자기 친환경 정책의 하나였던 플라스틱 빨대 사용 규제 계도기간을 무기한 연장한다고 발표한 이후 종이 빨대 생산 업체들이 위기에 몰리고 있다. 정부의 계도기간이 23일 종료 예정이어서 플라스틱 빨대 사용이 금지되면, 종이 빨대 사용량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여 생산량을 늘리고 주문을 받아왔는데, 계도기간 종료 2주 정도를 남겨놓고 정책이 뒤바뀌면서 플라스틱 빨대보다 개당 가격이 2배 이상 비싼 종이 빨대의 반품, 주문 취소, 다량의 재고 물량 등으로 피해를 떠안게 생겼기 때문이다. 모든 일이 원인이 있듯이, 정부의 정책이 이렇게 갑자기 바뀌어야 할 이유가 있었다면, 국민들이, 아니 종이 빨대 업체들에게 만이라도 납득할 만한 이유를 설명해야 하고, 정부 정책을 믿고 따른 것에 대한 적절한 보상이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 순리이다.
양세헌 기자 | LG전자가 완속,급속전기차 충전기 라인업을 앞세워 빠르게 성장중인 미국 전기차 충전기 시장 본격 공략에 나선다. LG전자(대표이사 조주완)는 11kW로 충전이 가능한 완속충전기와 175kW로충전할 수 있는 급속충전기를 2024년 상반기 내 미국 시장에 출시할 계획이다. 11kW 완속충전기는 벽에 부착하거나 세우는 등 자유로운 공간 활용이 자유롭다. 또한 쇼핑몰, 마트 등 충전기가 설치된 상업 공간의 전력 상황에 따라 출력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부하관리 솔루션이 탑재돼, 제한된 전력 용량에도 안정된 품질의 충전서비스를 제공한다. 175kW 급속충전기는 CCS1(Combined Charging System)과 NACS(North American Charging Standard) 두 가지 충전방식을 동시에 지원해, 고객들에게 더 편리한 충전경험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충전기 외부에는 충전 현황을 확인하고 광고를 통한 추가적인 수익 기회를 제공하는 터치 디스플레이가 적용된다. 또한 2024년 하반기에는 상업용,장거리 이동에 적합한
양세헌 기자 | 세계적인 시장 조사 회사인 유로모니터 인터내셔널은 16일 '2024 글로벌 소비자 트렌드'를 발표했다. 유로모니터가 매해 발표하고 있는 글로벌 소비자 트렌드 리포트(Top Global Consumer Trends 2024)는 혁신하는 소비자 가치 및 소비자 구매 동기와 니즈를 새로이 정의하는 소비자 행동이 어떻게 변하고 있는지에 대한 인사이트가 담긴 리포트다. 유로모니터는 △인공지능(AI)의 영향 △지속 가능성 이니셔티브의 중요성 △사회 및 경제,정치적 요소가 2024년 글로벌 소비자 트렌드를 이해하는 주요 키워드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유로모니터가 꼽은 2024년 글로벌 소비자 트렌드는 다음과 같다: 1. AI에게 물어보세요 Ask AI: AI를 활용한 새로운 툴들은 소비자를 위한 '공동 크리에이터'로 진화하고 있으며, 소비자의 결정에 영향을 미치고 브랜드 참여에 대한 기대치를 재편하고 있다. 이런 플랫폼들은 이제 소비자들의 일상에 완전히 자리 잡을 것이다. 기업은 개인화를 강화하고 전반적인 고객 경험 개선을 위해 생성형 AI를 필수로 활용해야 한
양세헌 기자 | 레이더 영상 위성을 이용한 지속적인 지구관측 분야의 글로벌 리더이자 자연재해 솔루션 전문 기업 아이스아이(ICEYE)는 지난 11월 11일 새로운 SAR (Synthetic-Aperture Radar: 합성개구레이더) 위성 4기를 성공적으로 발사하고, 자사의 위성군을 확장했다고 밝혔다. 이번 발사는 소형 위성 승차 공유(Rideshare) 임무를 수행하는 스페이스X(SpaceX)의 트랜스포터-9(Transporter-9)를 이용, 엑소론치(Exolaunch)를 통해 미국 캘리포니아 반덴베르그 우주군 기지(Vandenberg Space Force Base)에서 이뤄졌다. 각 우주선과의 통신 설정이 성공적으로 구축됐으며, 현재 일상적인 초기 작전이 수행되고 있다. 아이스아이는 2018년부터 현재까지 31기 위성을 배치하고, SAR 위성 기술 분야에서 세계적 리더십을 더 강화하고 있다. 최대 규모의 SAR 위성군을 소유 및 운영하고 있는 아이스아이는 고객들이 긴급 상황에서 가장 빠르게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높은 율의 반복적 현상에 대한 가장 높은 빈도의 재방문율
양세헌 기자 | ABB는 ABB 스마트 빌딩과 삼성물산 건설 부문(이하 삼성물산)이 대규모 주거, 상업 및 주상복합 주택의 거주 적합성 증대와 에너지 효율을 높이기 위한 글로벌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양사는 통합 빌딩 자동화, 안정적인 전력 분배 및 에너지 관리 솔루션을 공동으로 제공할 계획이다. 이번 협약은 2022년 4월 ABB-free@home®(프리앳홈)과 삼성 스마트싱스를 통합해 전체 주거용 스마트 빌딩 기술을 주도하고자 삼성전자와 체결한 협약과는 별도며, 두 번째로 체결한 글로벌 협약이다. 이번 협약은 다양한 빌딩 솔루션에 대한 통합을 시사한다. 삼성물산의 스마트 홈 플랫폼 '홈닉(Homeniq)', ABB-free@home® 시스템, ABB i-bus® KNX와 같은 총괄 빌딩 솔루션을 단일 자산 관리 시스템에 통합해 여러 종류의 홈,빌딩 서비스를 대폭 확장할 수 있다. 이번 파트너십은 사용이 쉽고 유연한 통합 제품과 솔루션에 대한 고객 수요 증가를 충족하면서, 나아가 에너지 관리 강화, 에너지 비용 절감 및 삶의 질 향상을 실현하는 중요한 전환점이다. &nbs
양세헌 기자 | 다임러 트럭 AG(대표이사 마틴 다움)가 지난 11월 7일 올해 3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공급업체 병목 현상으로 인해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소폭 감소했지만 영업이익과 매출은 증가하며 지속가능한 성장과 동시에 높은 수익성이라는 비전을 실현하고 있다. 다임러 트럭 AG 그룹의 3분기 글로벌 판매량은 총 12만8861대로 전년 동기(2022년 3분기 판매량 13만4972대) 대비 소폭 감소했다. 그러나 올해 1월부터 9월까지 누적 판매량은 총 38만5921대를 기록하며 전년 동기(2022년 1~9월 누적 판매량 36만5219대) 대비 5.7% 상승했다. 3분기 매출은 139억유로로 전년 동기(2022년 135억유로) 대비 3% 증가했다. 순이익 역시 일시적으로 세율을 낮춘 특별세의 영향으로 9억5700만유로를 기록해 안정적인 흐름을 유지하고 있다. 한편 세전영업이익은 13억4000만유로로 지난해(2022년 3분기 12억7000만유로) 대비 5% 성장했다. 마틴 다움(Martin Daum) 다임러 트럭 AG 대표는 '이번에 발표한 3분기 실적은 올해 다임러 트럭의 성공을 위한
양세헌 기자 | 도쿄의 선도적 도시 개발업체인 모리 빌딩(Mori Building)이 설립한 연구 기관인 모리 기념 재단(Mori Memorial Foundation)의 도시 전략 연구소(Institute for Urban Strategies)는 오늘 세계 48개 주요 도시의 전반적인 강점에 대한 2023년 글로벌 파워 시티 지수(Global Power City Index (GPCI) 2023) 보고서를 발표했다. 1위부터 7위까지는 순위에 변화가 없었고, 도쿄(3위)와 파리(4위)도 그럭저럭 지난해보다 점수를 올리지 못했다. 다른 상위 10개 도시 중 두바이는 11위에서 8위로 상승하여 상위 10위 안에 든 최초의 중동 도시가 된 반면, 상하이는 10위에서 15위로 하락했고, 베를린은 10위로 두 계단 떨어졌다. 런던(1위)과 싱가포르(5위)는 팬데믹 기간 동안 침체됐던 강점들을 되살리며 점수를 끌어올렸다. 국제 분쟁, 높은 인플레이션 및 업무 방식 변화와 같은 글로벌 상황은 올해 전체 순위뿐만 아니라 6개 도시 기능 및 70개 지표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많은 도시에서 접근성 기능의 '항공 승객 수'와 '
양세헌 기자 | 장기 미거래 금융자산이나 휴면 금융자산, 미사용 카드포인트 등 금융소비자가 오래동안 잊어버리고 찾아가지 않은 '숨은 금융자산' 규모가 17조 9000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에 따라,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이 모든 금융권과 함께 13일부터 다음달 22일까지 6주간 '숨은 금융자산 찾아주기 캠페인'을 실시한다. '숨은 금융자산'이란 금융소비자가 오랫동안 잊어버리고 찾아가지 않은 금융자산으로, 소멸시효가 완성된 '휴면금융자산', 3년 이상 거래가 발생하지 않은 '장기미거래 금융자산', 미사용 '카드포인트'를 의미한다. 지난 6월말 기준 '숨은 금융자산'은 17조 9000억 원으로 '휴면금융자산'이 1조 6000억 원, '장기미거래 금융자산'이 13조 6000억원, 미사용 '카드포인트'가 2조 6000억 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는 개별 금융회사 영업점이나 고객센터를 통해 '숨은 금융자산'을 문의할 수 있다. 인터넷 홈페이지 '파인(fine.fss.or.kr)'에 접속하거나 휴대전화에서 '어카운트인포' 애플리케이션을 내려받은 뒤 편리하게 조회할 수 있다. 1년 이상 거래가 없는 잔고가 100만 원 이하인 예,적금, 투자자예탁금, 신탁
양세헌 기자 | SK그룹이 지난 9일 서울 종로구 SK서린사옥에서 인공지능(AI) 분야 소셜벤처 테스트웍스를 임팩트 유니콘으로 선정해 사업지원금 1억원을 전달하고, 임팩트 유니콘 최고경영자(CEO)들과 지원협력 강화를 위한 간담회를 개최했다. SK는 2020년부터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스타트업을 지속가능기업으로 키우는 '임팩트 유니콘' 프로그램을 통해 테스트웍스까지 모두 8개사를 선정해 육성하고 있다. 이날 임팩트 유니콘 CEO 간담회에는 조경목 SK수펙스추구협의회 SV위원장과 알리콘(분산 오피스 및 커리어 네트워크), 두브레인(발달장애 아동 치료) 대표 등이 참석했다. SK그룹은 알리콘에 글로벌 진출 지원금으로 8000만원을 전달했다. 임팩트 유니콘은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스타트업 중 빠른 성장을 통해 경제적가치와 사회적가치 창출 총량을 혁신적으로 키울 수 있는 기업을 뜻한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롤모델이 되는 스타 SE(Social Enterprise: 사회적기업,소셜벤처)가 나와야 우수한 인재들이 몰리고 필요한 정책들이 입안되는 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