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G넥스원(대표이사 신익현)이 정부가 추진하는 한국형 전자전기 연구개발 사업에 체계종합업체로 참여하겠다는 계획을 공식화했다. 이번 사업은 정부가 총 1조7,775억 원을 투자해 국내 기업과 함께 진행하는 대규모 국방 연구개발 프로젝트다. 방위사업청이 지난달 15일부터 입찰 절차를 진행 중인 한국형 전자전기 사업은 항공기에 전자기전(EW, Electronic Warfare) 임무 장비를 탑재해 주변국의 위협 신호를 수집·분석하고, 전시에 전자공격(jamming)으로 적의 방공망과 지휘통신 체계를 마비·교란하는 전력을 확보하는 것이 목표다. 전자전기는 현대전에서 필수 자산으로, 작전 초기 적의 눈과 귀를 차단해 아군 전력의 생존성과 작전 효과를 높이는 핵심 전력으로 꼽힌다. 우리나라 전자기전 기술은 국방과학연구소 주도로 1970년대 함정용 장비 국산화에서 시작해, 1990년대 항공기용 전자전장비 개발로 이어졌다. 이후 레이더 기만·교란 기술, 디지털 재밍, 통신교란 고속처리 기술 등 핵심 기술을 차례로 국산화하며 발전해왔다. LIG넥스원은 47년간 국방과학연구소와 협력하며 육·해·공 전자전 무기체계를 개발해 왔다. 대표적으로 육군 지상전술전자전장비, 해군 함정
한화시스템이 고고도 탄도미사일 요격을 위한 한국형 미사일 방어체계(KAMD)의 상층부 방어 전력인 L-SAM-II 체계개발 사업에서 핵심 역할을 맡는다. 회사는 국방과학연구소 주관의 ‘L-SAM-II(고고도요격유도탄) 체계개발 사업’에서 다기능레이다(MFR·Multi-Function Radar) 시제품 개발업체로 최종 선정됐다고 26일 밝혔다. 계약 규모는 약 547억 원이다. L-SAM-II는 기존 L-SAM보다 요격 고도와 사거리를 대폭 확대한 ‘한국형 사드’로, 적 탄도미사일을 대기권 외곽 고도에서 선제 요격할 수 있는 전략적 무기체계다. 한화시스템은 L-SAM-II 체계의 ‘눈’ 역할을 하는 다기능레이다를 개발함으로써, 탐지와 추적, 피아식별, 미사일 유도 등 교전 전반에 걸친 핵심 기술을 공급하게 된다. 이번 개발로 한화시스템은 M-SAM(천궁), M-SAM-II(천궁-II), L-SAM에 이어 L-SAM-II까지 우리 군의 지대공유도무기체계에 탑재되는 모든 다기능레이다를 개발하게 되었으며, 이로써 국내 레이다 체계개발 분야의 압도적 선두 입지를 다시금 입증했다. L-SAM-II용 다기능레이다는 기존보다 탐지·추적 거리와 정밀도를 크게 향상시켜 고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