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론 제조·개발 전문기업 프리뉴(대표 이종경)가 오는 8월 29일 ‘드론 기술협력 파트너 세미나’를 열고 드론 산업 발전을 위한 기술 교류와 협력을 본격 추진한다. 이번 세미나에는 전자부품연구원(KETI), 한국산업기술시험원(KTL), 에너자이, 이와이엘 등 주요 기관과 기업이 연사로 참여한다. KETI는 oneM2M 기반 모비우스 플랫폼을 활용한 드론 응용 사례를 발표하고, 프리뉴와 함께 드론 통합 관제 및 디지털 트윈 연동 협력 방안을 모색한다. 에너자이는 드론에 최적화된 Edge AI 컴퓨팅 기술을 소개하며, 프리뉴 드론과의 AI 협력 가능성을 제시한다. 이와이엘은 차세대 보안 기술인 양자보안을 주제로 발표해 드론 데이터 보안 강화를 위한 협력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프리뉴는 이번 세미나의 모토를 ‘우정, 협력, 가식 없는 지식’으로 정하고, 편견 없는 기술 교류와 실질적 파트너십 강화를 강조했다. 행사에는 인탑스, 삼정 등 다양한 기업과 국민대·세종대·경기대 등 주요 대학이 참여해 산학 협력의 장도 마련된다. 드론 산업이 직면한 기술적 과제와 새로운 기회를 공유하며, 산·학·연이 함께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세미나가 되길 기대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국내 반도체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민관 협력체계를 본격 가동한다. 과기정통부는 3월 27일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삼성전자, SK하이닉스, DB하이텍 등 반도체 3사와 함께 첨단 반도체 연구 및 기술사업화 선도를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인공지능 시대의 본격화와 세계적인 반도체 주도권 경쟁이 격화되는 가운데, 우리나라 반도체 산업의 기반을 보다 공고히 다지기 위한 조치로 마련됐다. 협력의 핵심은 공공 반도체 제조 인프라를 연계한 통합 플랫폼 ‘모아팹(MoaFab)’의 기능 고도화다. ‘모아팹’은 나노종합기술원, 한국나노기술원, 나노융합기술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서울대학교 반도체공동연구소 등 국내 6개 공공 반도체 제조시설(공공팹)을 연결하는 통합 체계다. 연구자와 중소·벤처기업이 고가의 첨단 장비를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목적에서 최근 본격 운영에 돌입했다. 과기정통부와 반도체 3사는 이번 MOU를 통해 모아팹의 핵심 기능인 연구개발(R&D), 성능평가, 시제품 제작, 인력 양성 등의 공적 역할을 한층 강화하기로 뜻을 모았다. 이에 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