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불교조계종 제4교구본사 월정사가 디지털 대전환과 불확실성의 시대에 청년 리더십 함양을 위한 국제 명상 프로그램을 연다. 월정사는 오는 7월 1일부터 28일까지 미국의 비영리 단체 우든피시재단(Woodenfish Foundation)과 함께 ‘2025 월정사-우든피시 글로벌 명상수행 프로그램’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지난해 첫 개최에 이어 두 번째로 열리는 국제 명상 캠프다. 미국, 영국, 독일 등 전 세계 25개국에서 모인 청년 80여 명이 강원도 평창 오대산 자락의 월정사에서 약 한 달간 머무르며 집중 명상과 한국 불교 체험, 공동체 수행을 통해 정서적 회복과 자기 성찰, 리더십을 함양하게 된다. 디지털 기술의 급격한 발전과 전 지구적 불확실성이 청년층의 불안과 정신건강 문제를 심화시키는 가운데, 월정사는 명상을 통한 정서적 안정과 회복 탄력성, 타자와의 공존을 배우는 교육적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참가자들은 삭발식으로 프로그램을 시작해, 매일 새벽 예불과 명상, 한국 불교 문화 수업, 절제와 배려가 중심이 되는 공동체 생활을 함께한다. 특히 일정 마지막 주에는 일체의 언어와 외부 자극을 차단하고 수행에 몰입하는 ‘집중 침묵 수행 주간’이 운
2030년이면 전 세계 노동 인구의 74%를 차지하게 될 MZ세대를 조망한 ‘딜로이트 글로벌 MZ세대 서베이’ 리포트가 공개됐다. 한국 딜로이트 그룹(총괄대표 홍종성)은 전 세계 44개국 2만3000여 명, 이 중 한국 응답자 516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이번 조사 결과를 통해 MZ세대의 교육, AI, 경제 인식, 정신 건강에 대한 태도를 조명했다. 이번 조사에서 MZ세대는 고등교육에 대해 점점 회의적인 시각을 보이는 반면, 커리어 성장을 위한 자기 주도 역량 개발에는 꾸준히 노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국 MZ세대는 고등교육 포기율과 생성형 AI 활용도에서 글로벌 평균을 웃돌며 뚜렷한 특징을 보였다. 고등교육 기대감 하락… 자발적 역량 개발 선호 글로벌 Z세대의 31%, 밀레니얼의 32%는 대학 교육을 포기한 것으로 나타났다. 높은 등록금(40%)과 교육의 질에 대한 우려(35%)가 그 주된 이유다. 한국에서는 그 수치가 더 높아 MZ세대의 34%가 고등교육을 받지 않기로 결정했으며, 가족·개인 사정과 재정 부담이 주요 원인으로 꼽혔다. 반면 Z세대의 70%, 밀레니얼의 59%는 매주 최소 1회 이상 커리어 역량을 개발하고 있으며, 이는 자기 주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