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이차전지 소재 전문기업 엘앤에프가 산업통상자원부가 지정하는 ‘2025 소재·부품·장비 으뜸기업’에 공식 선정됐다. 이번 선정으로 엘앤에프는 전기전자(이차전지) 분야에서 독보적인 기술력을 보유한 기업으로 국가적 공인을 받게 됐다.
지난 10월 29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2025 소재·부품·장비·뿌리 산업 유공 포상 시상식’에서 엘앤에프는 지정서를 수여받으며, 이차전지 핵심 소재 분야의 기술 경쟁력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
‘소부장 으뜸기업’은 핵심 전략기술 분야에서 세계 수준의 기술력과 성장 가능성을 갖춘 기업을 발굴해 글로벌 대표 기업으로 육성하기 위한 산업통상자원부의 지정 제도다. 선정된 기업은 정부의 기술개발 출연금 지원뿐 아니라 수요기업과의 양산 테스트, 설비 투자, 규제 완화 등 실질적인 지원을 받는다.
엘앤에프는 ‘High&Mid-Ni 다결정 및 단결정 양극 전구체 제조 기술력’을 인정받아 으뜸기업으로 선정됐다. 회사는 양극재의 핵심 원료인 전구체 분야에서 독자적인 기술을 확보하며, 국내 이차전지 소재 산업의 공급망 안정화와 기술 자립에 기여해 왔다. 또한 NCM·LFP 투트랙 전략을 중심으로 핵심 소재의 내재화와 친환경 공정 고도화를 추진해 왔으며, 이번 지정은 이러한 기술 혁신의 결실로 평가된다.
엘앤에프는 이번 지정과 함께 산업통상자원부의 ‘소재부품기술개발사업(2차)’에도 선정돼 2025년부터 2028년까지 약 136억 원 규모의 연구개발에 착수한다. 이번 연구는 전구체 국산화 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하며, 엘앤에프가 컨소시엄의 총괄 주관기관으로 참여 기관들과의 기술 협력을 이끈다.
주요 연구 과제는 비황산염 전구체 개발 및 실증 평가를 포함하며, 4.45V 이상 고전압에서 200mAh/g 이상의 방전용량을 구현할 수 있는 친환경 전구체 제조 공정 기술 확보를 목표로 한다. 이를 통해 원재료 및 니켈 함량 65% 이하 전구체의 국산화를 실현하고, 글로벌 배터리 공급망 내 기술 자립과 경쟁력 강화를 동시에 추진할 계획이다.
박선홍 엘앤에프 원료개발연구소장은 “이번 으뜸기업 선정은 엘앤에프가 양극재뿐 아니라 핵심 원료인 전구체 기술까지 확보한 점을 국가적으로 인정받은 결과”라며 “친환경 국책과제를 통해 기술 자립을 완성하고, 글로벌 공급망 재편 시대에 한국 이차전지 산업의 초격차를 이끌어 가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