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종, 고려를 다시 일으킨 왕 고려는 흔들리고 있었다. 왕권이 약해졌고, 나라의 질서는 흐트러지고 있었다. 문종의 시대는 평화로웠다. 그러나 평화는 오래가지 못했다. 문종이 떠난 뒤, 고려는 다시 혼란 속으로 빠져들었다. 그 혼란 속에서 한 사내가 왕이 되었다. 그는 고려의 15대 왕, 숙종이었다. 그는 강한 왕이 되고자 했다. 고려가 다시 강한 나라가 되길 바랐다. 그는 기다리지 않았다. 그는 행동하는 왕이었다. 화폐를 만들다, 새로운 경제를 열다 숙종은 경제를 바꾸려 했다. 고려에는 돈이 없었다. 아니, 돈은 있었지만, 제대로 쓰이지 않았다. 사람들은 여전히 물건을 물건으로 바꾸었다. 나라가 발전하려면, 경제가 움직여야 했다. 그는 고려에 화폐를 만들기로 했다. 해동통보(海東通寶). 고려 최초의 주조 화폐였다. 그는 직접 명령을 내리고, 돈을 만들어 유통하게 했다. 사람들은 처음엔 낯설어했다. 그러나 왕이 나서서 밀어붙였다. 화폐는 곧 고려 경제의 중심이 되었다. 그것은 단순한 경제 정책이 아니었다. 화폐를 만든다는 것은 고려가 한 단계 더 성장했다는 의미였다. 이제 고려는 교역이 활발해질 것이었고, 사람들은 돈을 쓰는 법을 익혀야 했다. 그러나 그것이
고려 문종, 고려의 황금시대를 열다 전쟁이 없었던 것은 아니었지만, 나라가 안정되기 시작했다. 왕들은 다투지 않았고, 호족들의 힘도 점점 사라지고 있었다. 혼란의 시대는 지나가고 있었다. 고려는 이제 무엇이 되어야 할까? 문종은 그 질문에 답하려 했다. 그는 나라를 다스리는 법을 아는 왕이었다. 칼을 휘두르지 않았다. 대신 글을 읽고, 사람을 살폈다. 전쟁보다는 평화를, 혼란보다는 안정을 원했다. 그는 고려를 강한 나라로 만들고 싶었다. 그러나 강함이란 단순한 군사력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었다. 강한 법, 강한 문화, 강한 제도가 필요했다. 그는 그것을 만들었다. 경정전시과, 나라의 틀을 다듬다 나라를 운영하려면 돈이 필요했다. 고려는 전쟁을 피하고 있었지만, 전쟁이 없다고 해서 문제가 사라지는 것은 아니었다. 신하들에게 줄 땅이 있었고, 관리들을 먹여 살려야 했다. 문종은 토지 제도를 정비했다. 그는 경정전시과(經正田柴科)를 시행했다. 이전 왕들이 만들었던 전시과는 불안정했다. 시간이 흐르면서 신하들이 지나치게 많은 땅을 가질 수 있게 되었다. 그는 그것을 바로잡았다. 땅을 나누는 기준을 다시 세웠다. 관리들에게 공정하게 토지를 나누었고, 세습을 제한했다.
성종, 고려의 기틀을 세우다 고려는 태어났다. 그러나 태어났다고 곧바로 강해지는 것은 아니었다. 왕건이 세운 나라였고, 광종이 왕권을 다졌지만, 아직 고려는 하나가 아니었다. 나라가 있다면, 그 나라를 움직이는 법이 있어야 했다. 모든 것이 제자리를 찾아야 했다. 성종. 그는 고려의 여덟 번째 왕이었다. 나라는 왕이었지만, 아직 체제가 아니었다. 광종이 칼로 고려를 다듬었다면, 성종은 그 위에 틀을 만들었다. 그는 나라를 다스리는 법을 세웠고, 고려가 진짜 국가가 되도록 했다. 유교 정치, 새로운 질서를 만들다 고려는 불교의 나라였다. 왕건도, 광종도 불교를 믿었다. 백성들도 마찬가지였다. 절이 많았고, 스님들이 힘을 가졌다. 그러나 그것만으로 나라가 움직일 수는 없었다. 성종은 유교를 택했다. 불교는 백성을 다독이기에 좋았지만, 나라를 다스리는 데에는 부족했다. 유교는 법과 질서를 강조했다. 신하는 왕을 섬기고, 백성은 그 아래에서 살아간다. 그것이 성종이 원한 세상이었다. 그는 전국에 유교 교육을 퍼뜨렸다. 국자감(國子監)을 세우고, 지방에도 학교를 만들었다. 신하들은 책을 읽고, 유학을 공부해야 했다. 과거제를 통해 인재를 뽑고, 유교적 가치를 행정의
광종, 왕의 길을 걷다 검은 눈을 번뜩이며 세상을 품에 안은 한 사내가 왕좌에 앉았다. 그의 이름은 광종, 고려 제4대 왕. 그는 왕건의 손자였고, 강한 왕이었다. 그러나 강함만으로는 부족했다. 그는 고려를 다듬어야 했고, 그 자신도 변해야 했다. 광종이 왕위에 오른 것은 949년이었다. 그가 본 고려는 하나가 아니었다. 태조 왕건이 후삼국을 통일한 지 불과 13년밖에 지나지 않았지만, 그 통일은 이름뿐이었다. 호족들은 여전히 각자의 땅을 지배하고 있었고, 왕은 그들을 인정해야만 했다. 왕권은 허울뿐이었다. 광종은 그 허울을 벗겨내기로 했다. 그는 왕이 아니라, 고려 그 자체가 되고자 했다. 노비안검법, 권력을 위한 칼날 그가 먼저 손을 댄 것은 호족이었다. 그러나 그는 무력을 쓰지 않았다. 칼이 아니라 법으로 그들을 베었다. 그 법의 이름은 노비안검법이었다. 고려의 호족들은 전쟁 속에서 노비를 늘렸다. 전쟁은 끝났어도, 그들의 노비는 줄지 않았다. 많은 백성들이 빚을 갚지 못해 스스로 노비가 되었고, 호족들은 이를 당연하게 여겼다. 광종은 그것을 부정했다. 나라가 하나라면, 백성도 하나여야 한다. 그의 명령이 떨어졌다. 조사관들이 전국으로 퍼졌다. 호족들의
고려 태조 왕건(王建) – 한 사내가 이룬 나라 세상에는 이름만으로도 시대를 상징하는 자들이 있다. 왕건(王建), 그 또한 그러한 이름이었다. 신라의 기운이 다하고, 후삼국이 어지럽게 엉켜 있던 시절, 그는 어둠을 뚫고 한 시대를 연 사내였다. 단순한 장수가 아니었고, 그저 운이 좋은 자도 아니었다. 그는 새로운 왕조의 기틀을 세우고, 그 왕조를 천 년 동안 이어지게 한 사내였다. 무너지는 시대, 떠오르는 별 왕건은 877년, 고려 개국 이전의 혼란스러운 시대 속에서 태어났다. 당시 신라는 왕권이 약화되고, 지방의 세력가들이 스스로를 호족(豪族)이라 칭하며 땅을 나누어 지배하고 있었다. 신라의 힘은 경주의 궁궐 담장을 넘지 못했고, 나라는 이미 기울고 있었다. 그런 틈을 타 후백제의 견훤(甄萱), 태봉의 궁예(弓裔) 등이 일어나 스스로 왕을 칭하며 새로운 질서를 만들려 했다. 그러나 진정한 승자는 따로 있었다. 왕건은 본래 송악(松嶽, 지금의 개성) 출신으로, 아버지 왕륭(王隆)은 해상 무역을 통해 부를 축적한 세력이었다. 그러나 그의 운명은 단순한 상인의 자식으로 끝나지 않았다. 궁예가 태봉을 세우고 세력을 키워갈 무렵, 왕건은 그의 휘하에서 뛰어난 용맹과
후삼국 통일, 고려․․․통합의 리더십 역사의 물결은 한 순간도 멈추지 않는다.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지 300여 년, 한반도는 다시금 혼란의 시대로 접어들었다. 통일의 영광은 오래가지 못했고, 신라는 쇠락했다. 그리고 강한 자들이 등장했다. 그들은 스스로 왕이 되어 새로운 세상을 만들고자 했다. 900년대 초, 후삼국 시대가 열렸다. 혼돈의 시대, 왕이 된 자들 신라는 더 이상 강한 나라가 아니었다. 중앙의 권력은 무너졌고, 지방에서는 새로운 세력들이 힘을 키웠다. 900년, 견훤이 후백제를 세웠고, 901년, 궁예가 후고구려를 건국했다. 견훤은 야심가였다. 백제의 후예를 자처하며 신라를 몰락시킬 계획을 세웠다. 강한 군대를 갖추었고, 전라도와 충청도를 장악했다. 그는 빠르게 성장했다. 궁예는 신비로운 인물이었다. 고구려 왕족의 후손이라 주장하며 새로운 나라를 세웠다. 처음에는 이상적인 군주였다. 백성을 위하는 정책을 펼쳤고, 강력한 군사력을 자랑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그의 모습은 변했다. 독선과 폭정으로 백성을 괴롭히기 시작했다. 918년, 부하들은 결국 그를 버렸다. 그리고 그 자리를 대신한 사람이 있었다. 바로 왕건이었다. 고려의 시작, 왕건의
신라의 삼국 통일, 전쟁과 외교, 그리고 강한 자의 조건 역사는 말한다. 강한 자만이 살아남는다. 그리고 강한 자란 무엇인가. 군사력인가, 외교력인가, 시대를 읽는 통찰력인가. 신라는 이 세 가지를 모두 가졌다. 그리고 그 모든 요소가 합쳐졌을 때, 676년, 신라는 마침내 삼국 통일을 이루었다. 그러나 우리는 여기서 묻지 않을 수 없다. 신라가 이룬 통일은 진정한 통일이었는가. 그리고 이 과정에서 신라는 무엇을 얻고, 무엇을 잃었는가. 삼국 통일, 그 시작은 배신이었다 7세기 중반. 한반도의 패권을 둘러싸고 세 나라가 서로를 견제하며 팽팽한 긴장 속에서 버텨왔다. 고구려는 압도적인 군사력과 광활한 영토를 가졌고, 백제는 해상 무역과 뛰어난 문화적 역량으로 존재감을 키웠다. 신라는? 상대적으로 약했다. 그러나 신라는 전략적 선택을 했다. 강한 적과 맞서기보다 더 강한 힘을 등에 업기로 한 것이다. 태종 무열왕(김춘추)은 당시 동아시아 최강국이던 당나라와 손을 잡았다. 국익을 위해 오랜 동맹이었던 백제를 배신했다. 660년, 나당연합군은 백제를 무너뜨린다. 백제 의자왕은 항복했고, 사비성은 함락되었다. 그러나 이게 끝이 아니었다. 진정한 승자는 마지막까지 살아
소자본 창업, 한 손에 쥐는 작은 성공 샌드위치 가게 샌드위치는 가벼우면서도 든든한 한 끼로 사랑받는 메뉴다. 재료 조합이 무궁무진하고, 테이크아웃과 배달 중심으로 운영하면 소규모 자본으로도 충분히 창업할 수 있다. 초기 비용을 줄이고 효율적으로 운영하는 전략만 잘 세우면, 작은 가게에서 시작해도 충분히 경쟁력을 가질 수 있다. 1. 창업 준비: 시장 조사와 타겟 고객 설정 먼저, 샌드위치 소비층이 많은 지역인지 조사하는 것이 중요하다. 오피스 밀집 지역에서는 바쁜 직장인들이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가벼운 한 끼를 선호하고, 대학가나 젊은 층이 많은 곳에서는 건강식, 저렴한 가격, 이색적인 메뉴가 인기다. 경쟁 가게 분석도 필수다. 기존 샌드위치 브랜드들이 많은 지역이라면 차별화된 콘셉트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수제빵을 사용하는 곳이 없다면 빵을 직접 구워서 제공하는 방법도 있다. 운영 방식도 미리 결정해야 한다. 홀 운영이 필요할지, 아니면 배달과 테이크아웃 중심으로 운영할지를 고려해야 한다. 초기 비용을 아끼려면 작은 공간에서 배달 중심으로 시작하는 것이 유리하다. 2. 창업 비용 & 예산 계획 샌드위치 가게는 만두나 분식 가게보다 상대적으로 설
흔들리는 왕좌, 혜공왕 신라 제36대 왕, 혜공왕. 왕이라 불렸으나 왕이 아니었다. 왕좌에 앉았으나 권력은 그의 것이 아니었다. 신라는 이미 기울고 있었다. 시대는 어지러웠고, 권력은 피를 부르며 흔들렸다. 그는 그 모든 격랑 속에서 오직 허수아비처럼 서 있을 뿐이었다. 뜻이 없어서가 아니었다. 힘이 없었고, 그를 지켜줄 이도 없었다. 끝내, 그는 역사의 한 귀퉁이에서 스러지고 말았다. 아니, 애초에 그는 한 번이라도 온전히 신라의 왕이었던 적이 있었던가? 어린 왕, 왕좌에 오르다 혜공왕은 어렸을 때 왕이 되었다. 그의 아버지인 경덕왕이 세상을 떠나면서, 왕좌는 단숨에 그의 것이 되었다. 그러나 그것은 왕의 자리가 아니었다. 왕권이 약해지고, 귀족들이 힘을 키우던 시대였다. 어린 왕이 즉위하자, 실권은 왕이 아니라 귀족들이 가졌다. 신라는 이제 왕이 다스리는 나라가 아니었다. 왕은 허울뿐이었고, 진짜 권력은 궁궐 밖에서 움직이고 있었다. 혜공왕은 왕이었지만, 무엇도 할 수 없었다. 나라의 정책은 귀족들의 손에 의해 결정되었고, 왕이 아닌 대귀족들이 나라를 움직였다. 신라는 혼란스러웠고, 왕권은 점점 더 흔들렸다. 그는 그것을 지켜보며 성장했다. 그러나 그가
별을 세운 왕, 원성왕 먼 산자락에는 구름이 걸려 있었고, 남쪽으로 흐르는 강물은 여전히 그 자리에 있었다. 천 년 전에도, 지금도. 하지만 바람이 전하는 이야기는 변하지 않았다. 그 시대의 이름이, 신라의 한 왕이 바람 속에서 조용히 속삭이고 있었다. 원성왕(元聖王). 그는 혼란의 시대를 살았다. 삼국통일 이후 신라는 안정을 찾는 듯했지만, 왕위는 피바람 속에서 오르락내리락 했다. 왕이 바뀔 때마다 귀족들은 충성을 갈아타고, 강한 자만이 살아남았다. 그런 시대에, 그는 왕이 되었다. 그리고 신라는 또 다른 길로 나아가기 시작했다. 혼란의 시대를 뚫고 왕이 되다 원성왕은 신라의 38대 왕이었다. 그의 즉위는 단순한 왕위 계승이 아니었다. 통일 후 신라는 왕권이 흔들리고 있었다. 무열왕계와 문무왕계의 혈통이 엇갈리며 왕위 다툼이 계속되었고, 진골 귀족들은 자신들의 권력을 더욱 공고히 하려 했다. 그 와중에, 그는 왕이 되었다. 스스로 왕좌를 차지하기 위해 싸워야 했고, 왕이 된 후에도 끊임없이 정적을 견제해야 했다. 그러나 그는 단순히 권력을 지키는 데 머물지 않았다. 신라가 더 이상 왕위 다툼에만 휘둘릴 수는 없다는 것을 알았다. 나라가 다시 강해지려면, 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