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정부터 사진까지, 디지털세탁소의 모든 것
스마트폰과 인터넷이 일상의 중심이 된 지 오래다. 그만큼 한 사람의 흔적은 물리적 공간보다 디지털 공간에 더 많이 남는다. 이메일, 소셜미디어, 클라우드 저장소, 메신저 대화, 온라인 쇼핑 기록, 사진과 영상까지. 생전에 무심코 쌓아온 이 모든 데이터는 개인의 사생활과 관계망, 소비 패턴, 심지어는 금융 정보까지 포함한다. 그런데 그 방대한 기록은 당사자가 세상을 떠난 이후 어떻게 처리될까. 최근 주목받는 개념이 ‘디지털세탁소’다. 물리적 세탁소가 옷의 얼룩을 지우듯, 디지털세탁소는 온라인상의 흔적을 정리하거나 삭제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의뢰인은 생전에 미리 자신의 온라인 계정과 콘텐츠를 정리해 달라고 요청하거나, 사후에 유족이 대신 서비스를 신청한다. 목적은 다양하다. 사생활 보호, 명예 관리, 그리고 단순한 데이터 정리까지. 디지털세탁소의 주요 업무는 크게 세 가지로 나뉜다. 첫째, 계정 삭제와 비활성화다.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트위터 같은 SNS 계정은 물론, 네이버나 구글 같은 포털 계정까지 포함된다. 플랫폼마다 사망자 계정 처리 절차가 다르기 때문에, 직접 처리하려면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든다. 둘째, 저장된 콘텐츠 정리다. 클라우드 서비스에 보관
- 헤드라인경제신문 기자
- 2025-08-15 0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