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화점 명품관 앞에 길게 줄 서는 장면은 더 이상 소비의 전형을 설명하지 않는다. 최근 몇 년간 MZ세대(밀레니얼+Z세대)의 소비 패턴은 뚜렷하게 변했다. 그들은 고가의 가방이나 시계를 사는 대신, 같은 금액을 들여 해외 여행을 다녀오거나, 유명 작가의 전시에 입장하거나, 대형 음악 페스티벌에서 하루를 보내는 것을 택한다. 물건을 소유하는 만족감보다, ‘경험’을 통해 얻는 순간의 감정과 이를 기록·공유하는 과정에서 오는 만족이 훨씬 크다고 느끼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험 소비는 단순한 유흥의 문제가 아니다. SNS 시대, 경험은 곧 ‘콘텐츠’이고, 콘텐츠는 곧 개인의 브랜드다. MZ세대에게 ‘내가 무엇을 가졌는가’보다 ‘내가 무엇을 경험했는가’가 더 강력한 자기 표현 수단이 된다. 누군가와의 대화에서 명품 가방을 꺼내 보이는 대신, “저번에 다녀온 아이슬란드 오로라 여행”이나 “3시간 줄 서서 들어간 미술 전시”를 이야기하는 편이 훨씬 인상적이다. 이 변화는 중고·렌탈 시장의 급성장과도 맞물린다. 소유의 필요성이 줄어들면서, 비싼 물건은 빌려 쓰거나, 필요할 때만 구입하고 곧 되파는 것이 자연스러운 습관이 되었다. 국내 최대 중고 거래 플랫폼의 월간 이용자는
최근 소비 트렌드의 키워드 중 하나는 ‘토핑경제(Topping Economy)’다. 이는 소비자가 단순히 완성된 제품을 선택하는 것을 넘어, 자신의 취향과 개성에 따라 다양한 옵션과 요소를 조합해 하나의 제품을 완성하는 흐름을 의미한다. 마치 마라탕이나 요거트를 주문할 때 원하는 재료를 선택하는 것처럼, 이제 소비자는 스스로 제품의 공동 설계자가 되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로 최근 화제를 모은 컴포즈커피의 ‘컴포즈콤보’를 들 수 있다. 고객이 기본 음료를 고른 뒤 시럽, 토핑, 휘핑크림, 사이즈 등 다양한 옵션을 자유롭게 조합할 수 있는 메뉴다. 이 서비스는 출시와 동시에 소비자들의 뜨거운 반응을 얻었고, 관련 바이럴 영상은 단 3일 만에 100만 회 이상의 조회수를 기록했다. 단순한 커피 한 잔이 아닌 ‘나만의 레시피’를 완성하는 경험이 소비자들에게 강한 만족감을 주고 있는 것이다. 토핑경제는 단순한 커스터마이징 서비스 이상의 의미를 가진다. 이는 소비자에게 ‘선택권’을 넘겨주고, 그 선택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브랜드에 대한 애정을 형성하도록 유도한다. 아이스크림 가게에서 자신이 고른 토핑이 한 스쿱의 평범한 아이스크림을 특별한 디저트로 만들어 주듯, 소비자는
한때 유행하던 단어가 있다. '가성비'였다. 가격 대비 성능을 의미하는 이 단어는 수많은 소비자들의 기준이 되었고, 기업들은 더욱 저렴한 가격에 비슷한 기능을 제공하는 상품을 쏟아냈다. 하지만 이 흐름이 지금도 유효한가에 대해선 물음표가 붙는다. 특히 2030세대를 중심으로 소비의 기준이 분명히 달라지고 있다. 이들은 단순히 물건의 기능이나 가격이 아닌, '내가 이 소비를 통해 어떤 감정을 얻는가'에 훨씬 더 집중하고 있다. 이른바 '가심비'가 주목받는 시대다. 감성의 만족, 나를 만족시키는 가치, 그리고 그 안에 담긴 의미가 소비를 결정짓는 기준으로 떠오르고 있다. 단순히 싼 것이 아니라, 나와 맞는 것. 많은 젊은 세대는 물건을 고를 때 그 제품이 자신의 정체성을 얼마나 대변해주는지를 고민한다. 누군가는 무심히 들고 다니는 텀블러 하나에도 브랜드 철학과 재활용 정책을 따져본다. 왜일까. 그 안에서 자신이 어떤 사람인지, 무엇을 지향하는지, 어떤 삶을 살고 싶은지를 보여주고자 하는 무언의 메시지가 담겨 있기 때문이다. 명품 소비가 늘어난 것도 같은 맥락이다. 단순히 '비싸서 사는 것'이 아니라, 그 브랜드가 주는 서사와 스토리, 그리고 그 안에서 느끼는 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