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앤에프가 국내 주요 배터리(Cell)업체와 리튬인산철(LFP) 소재 공급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본격적으로 LFP 사업에 진출한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글로벌 중저가 전기차 및 에너지저장장치(ESS) 시장을 타겟으로 하며, 엘앤에프는 중국 외 기업으로는 세계 최초로 LFP를 대량 생산·공급하는 회사가 될 전망이다. 이번 협약은 미중 갈등, 관세 리스크 등 불안정한 국제 정세에 따른 공급망 다변화와 ‘탈중국’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완성차 업체들의 저가형 전기차 수요 증가와 이에 따른 안정적인 소재 확보 요구가 국내 Cell 업체와 소재 기업 간 협력을 이끌어냈다는 평가다. 엘앤에프는 올 초부터 중저가 전기차 시장에 대응하기 위해 LFP 사업 진출을 지속적으로 언급해왔으며, 이번 협약을 통해 공식적인 진출의 첫 결실을 맺게 됐다. 회사 측은 현재 LFP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다수의 고객사들도 관심을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LFP 생산은 최대 연 5만 톤 규모로 시작해, 시장 수요에 따라 점차 확대할 계획이다. 엘앤에프가 개발 중인 LFP 소재는 삼원계 미드니켈(NCM) 제품에 버금가는 에너지 밀도를 가지면서도, 가격은 더 저렴해
글로벌 배터리 소재 전문기업 엘앤에프(대표이사 부회장 최수안)가 2025년을 기술혁신과 조직 역량 강화의 원년으로 삼아 지속가능한 성장 실현에 나선다. 2025년 경영전략 발표, ‘돌파(Breakthrough)’ 선언 엘앤에프는 지난 2일 대구 본사에서 열린 시무식에서 최수안 대표이사 부회장이 신년사를 통해 “2025년은 마지막 위기를 돌파하고 성장으로 나아가는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새해 경영전략을 발표했다. 그는 “올해 준비를 완료해 2026년부터 본격적인 성장을 이루겠다”고 강조했다. 엘앤에프는 △혁신을 통한 효율성 극대화 △시장 입지 강화 △인재 투자라는 3대 핵심 전략을 제시하며, 디지털 전환과 내부 프로세스 혁신으로 생산성과 수익성을 높이고 고객 기반 다변화를 통해 시장 내 차별화된 입지를 강화할 계획이다. 또한 품질 안정성과 기술력 강화를 통해 지속가능한 고객 다변화를 추진하며, 인재 중심의 ESG 경영을 통해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겠다는 방침이다. 미래 성장동력 확보와 기술 리더십 강화 엘앤에프는 2026년 본격 양산을 목표로 LFP 양극재 파일럿 라인 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한 준비를 진행 중이다. 또한, 올해 3월 코엑스에서 열리는 ‘인터배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