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은 반려견과 농장 동물을 활용한 교감 치유 프로그램이 성인의 심리적 안정과 스트레스 완화에 효과가 있음을 과학적으로 확인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61세부터 74세까지의 활동적 은퇴자 15명을 대상으로 반려견과 함께하는 교감 프로그램을 5주간 진행한 결과, 자아존중감이 30.7점에서 31.9점으로, 자기효능감이 61.3점에서 68.1점으로 높아졌다. 반면 우울 척도는 11.3점에서 6.7점으로, 스트레스 수준은 2.90점에서 2.60점으로 낮아졌다. 생리적 지표에서도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솔 농도가 38.8% 감소하고, 이완기 혈압은 7.3% 떨어지는 등 의학적으로 의미 있는 개선이 나타났다.
18세부터 39세까지의 청년 스트레스 고위험군 10명을 대상으로 개, 고양이, 산양, 닭, 기니피그 등 다양한 동물과 함께하는 통합형 교감 프로그램을 3차례 운영한 결과에서도 긍정적 변화가 관찰됐다. 자아존중감이 상승하고, 우울과 스트레스 정서가 다소 완화됐으며, 자율신경계 활동 역시 안정적으로 유지됐다.
참가자 설문조사에서는 병원이나 상담실을 벗어나 실외에서 반려견이나 농장 동물과 교감하는 과정에서 심리적 안정과 위안을 얻었다는 응답이 다수였다.
이번 연구 결과는 한국산학기술학회 등 국내 학술지에 2편 게재됐으며, 동물교감 치유가 국민의 마음 건강 증진에 실질적 도움을 줄 수 있음을 과학적으로 뒷받침했다는 평가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동물복지과 이휘철 과장은 “동물교감 치유가 국민의 정신적 안정에 기여할 수 있음을 확인한 만큼, 앞으로도 치유에 참여하는 동물의 복지를 최우선으로 고려하며 현장 적용 확대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출처=농촌진흥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