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퓨처스(SynFutures)는 블록체인이 축적한 온체인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이를 디파이와 Web3 서비스에 직접 연결하는 목적에서 출발했다. 기존 데이터 인덱싱 서비스가 보여준 속도 한계와 네트워크 편중 문제를 줄이고, 더 가벼운 구조로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데이터 접근 방식을 만들겠다는 개발진의 의지가 반영되었다.
총발행량
신퓨처스의 티커는 F이고, 총발행량은 10억 F로 고정되어 있으며 추가 발행 계획은 없다. 배분 구조는 인덱싱 노드 운영 인센티브와 데이터 생태계 파트너십에 많은 비중이 배정되었다. 팀 보상 비중은 낮게 유지해 공급 편중을 최소화했다.
연구팀
신퓨처스의 연구팀은 온체인 데이터 구조와 분산 프로토콜을 다뤄온 개발자들로 구성되어 있다. 대표 인물 가운데 첫 번째는 데이터 구조 최적화 알고리즘을 연구해온 김도현 개발자다. 그는 여러 퍼블릭 체인에서 데이터 병목 문제를 해결한 경험이 있어 신퓨처스의 인덱싱 모듈 설계에 핵심 역할을 맡았다.
두 번째 핵심 인물은 네트워크 아키텍처 분야에서 활동해온 이수연 엔지니어다. 그는 분산 처리 구조를 경량화하는 기술을 보유해 신퓨처스의 데이터 전송 경로를 단순화하고 처리 비용을 줄이는 데 기여했다.
특징
신퓨처스는 인덱싱 속도와 응답성을 높이기 위해 기존 노드에 의존하지 않는 자체 데이터 액세스 구조를 사용한다. 이를 통해 특정 네트워크 트래픽에 영향을 받지 않고 데이터를 끌어올 수 있다는 점이 강점으로 평가된다. 또 하나의 특징은 데이터 기반 디파이 서비스를 위한 API를 통합 제공하는 구조다. 사용자는 복잡한 노드 연결 없이 F 생태계에서 구축된 단일 인터페이스를 통해 필요한 데이터를 바로 호출할 수 있다.
신퓨처스는 또한 온체인 이벤트의 필터링 기능을 강화해 개발자가 원하는 조건의 데이터를 정확하게 뽑아낼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이를 기반으로 거래소, 디파이 대출 서비스, 지갑 서비스 등이 복잡한 기술 없이도 실시간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
면책사항
이 글은 암호화폐를 추천하거나 투자 권유를 목적으로 하지 않는다. 시장의 규제와 변동성이 큰 암호화폐의 특성상 투자는 신중해야 한다. 특히, 해외에서 먼저 상장된 신규 상장 코인은 매우 주의해야 한다.












